【 앵커멘트 】
정부가 10조 원 규모의 필수 추경을 편성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광주·전남 등 지자체의 움직임도 바빠지고 있습니다.
소비심리 급감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경제에 추경이 꼭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지만 논의는 지지부진한 상황입니다.
이형길 기자입니다.
【 기자 】
올해 정부 예산이 국회를 통과하면서부터 정치권과 지역에서는 추경 필요성이 강조돼왔습니다.
연말 제주항공 참사와 탄핵 여파 등으로 소비심리가 급감했고, 지역의 미래성장동력을 이끌 사업들마저 줄줄이 국비 예산안이 누락됐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경북 산불 피해 복구 등을 포함해 10조 원 규모의 필수 추경에 나서겠다고 밝히자 광주와 전남도 즉각 대응에 나섰습니다.
특히 광주는 AI 2단계 사업과 도시철도 2호선 공사비, AI 영재고 등의 예산 확보를 위해 추경 대응반을 곧바로 편성했습니다.
▶ 강기정 / 광주광역시장
- "추경대응반을 운영해서 미래투자예산과 민생안정 예산 확보에 주력할 것입니다."
하지만 정치권의 논의는 지지부진입니다.
민주당은 정부가 여야 합의를 조건으로 추경을 제출하겠다고 나선 것도 미온적인 태도를 보인 것이라 지적했습니다.
또 10조 원 규모에 산불 피해 복구를 빼면 사실상 경기를 살리는 효과는 낼 수 없을 것이란 입장입니다.
▶ 안도걸 /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 "많은 사업을 담기는 어렵다라고 생각이 들고 특히 지역 SOC라든지 이런 부분들은 담기가 어렵지 않느냐(생각합니다.)"
대통령 탄핵 선고가 임박하고 조기 대선 국면으로 접어들면 여야가 마주 앉아 추경을 논의하기는 더 어려워질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 이형길
정치권이 정쟁에 앞서 최소한의 민생 경제와 미래 성장을 챙기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KBC 이형길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