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파면됐습니다.
헌법재판소는 4일 헌재 대심판정에서 열린 윤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에서 재판관 전원일치로 탄핵 소추안을 인용했습니다.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헌정 사상 2번째 파면입니다.
다음은 윤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선포부터 헌재의 탄핵 소추안 인용까지 주요 일지.
◇ 2024년△ 12월 3일
- 윤석열 대통령 긴급 담화 '비상계엄' 선포
△ 12월 4일
- 국회,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재선 190명 만장일치 가결
- 윤 대통령, 계엄 해제 선언
- 야6당, 윤 대통령 1차 탄핵소추안 발의
△ 12월 5일
- 윤 대통령 탄핵 소추안 국회 본회의 보고
△ 12월 6일
-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 구성
△ 12월 7일
- 윤 대통령 1차 탄핵소추안, 의결 정족수 부족으로 투표 불성립 폐기
△ 12월 8일
-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 새벽 검찰 자진 출석 후 긴급체포
△ 12월 9일
- 법무부, 윤 대통령 출국 금지
△ 12월 11일
- 검찰 특수본, 윤 대통령 1차 소환 통보
- 경찰 조지호 경찰청장, 김봉식 서울경찰청장 긴급체포
△ 12월 12일
- 야6당, 윤석열 2차 탄핵소추안 제출
△ 12월 14일
- 윤 대통령 2차 탄핵소추안 찬성 204표 가결..헌재 사건번호 2024헌나8
△ 12월 14일
- 윤 대통령, 검찰 1차 소환 통보 불응
- 경찰, '계엄 사전 모의' 전현직 정보사령관 노상원·문상호 긴급체포
△ 12월 16일
- 검찰 특수본, 윤 대통령 2차 소환 통보
- 경찰 '내란 우두머리' 혐의 윤석열 대통령 사건 공수처 이첩
- 공수처, 윤 대통령 1차 출석요구 → 관저 수취거부 및 대통령실 반송 처리
△ 12월 17일
- 경찰, 삼청동 대통령 안가 압수수색 불발
△ 12월 18일
- 윤 대통령, 공수처 1차 출석요구 불응
- 공수처, '계엄 사전 모의·체포조 의혹' 문상호 정보사령관 체포
△ 12월 19일
- 헌재, 윤 대통령에 탄핵심판 소송 서류 발송
△ 12월 20일
- 공수처, 윤 대통령 2차 피의자 출석 요구..수취 거부로 반송
△ 12월 23일
- 헌재 "윤 대통령 탄핵 서류 20일 송달 효력 발생..27일 첫 변론준비 진행"
△ 12월 25일
- 윤 대통령, 공수처 2차 출석 요구 불응
△ 12월 26일
- 공수처, 윤 대통령 3차 출석 요구
△ 12월 27일
- 윤 대통령 탄핵심판 첫 변론준비기일..대리인단에 배보윤 변호사 등 선임
-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 구속 기소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 탄핵
△ 12월 29일
- 윤 대통령, 공수처 3차 소환 요구 불응
△ 12월 30일
- 공수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윤석열 체포영장 청구
△ 12월 31일
- 서울서부지법, '내란 우두머리 혐의' 윤 대통령 체포영장 발부
-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조한창·정계선 재판관 임명. 마은혁 후보자 임명 보류
◇ 2025년

△ 1월 1일
- 조한창·정계선 재판관 취임..헌재 8인 체제 구축
△ 1월 3일
- 공수처, 윤 대통령 체포영장 1차 집행 후 불발
- 윤 대통령 탄핵심판 2차 변론준비기일, 윤 대통령 측 첫 답변서 제출
△ 1월 5일
- 법원,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이의신청 기각
△ 1월 6일
- 공수처, 윤 대통령 체포영장 재청구
△ 1월 7일
- 서울서부지법, 윤 대통령 체포영장 재발부
△ 1월 12일
- 윤갑근 변호사 등 4명 공수처에 변호인 선임계 제출
△ 1월 13일
- 윤 대통령 측, 정계선 헌법재판관 기피신청
△ 1월 14일
- 윤 대통령 탄핵심판 1차 변론 윤 대통령 불출석으로 4분만 종료
- 정계선 재판관 기피 신청 기각
△ 1월 15일
- 공수처, 윤 대통령 체포
△ 1월 16일
- 법원, 윤석열 체포적부심사 청구 기각
- 윤 대통령 탄핵심판 2차 변론
△ 1월 17일
- 공수처, 서울서부지법에 윤 대통령 구속영장 청구
△ 1월 18일
- 윤 대통령, 구속 전 피의자 심문 출석
△ 1월 19일
- 서울서부지법, 윤 대통령 구속영장 발부
- 서울서부지법 난동 사태 발생
△ 1월 21일
- 윤 대통령 탄핵심판 3차 변론..윤 대통령 첫 출석
△ 1월 22일
- '서부지법 난동' 63명 구속영장 청구, 56명 구속.."도주 우려"
△ 1월 23일
- 윤 대통령 탄핵심판 4차 변론,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증인신문
△ 1월 26일
- 검찰, 윤 대통령 구속기소
△ 2월 4일
- 윤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 이진우 전 육군 수도방위사령관,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증인신문
△ 2월 6일
- 윤 대통령 탄핵심판 6차 변론, 김현태 특전사 707특수임무단장,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 증인신문
△ 2월 11일
- 윤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신원식 국가안보실장, 백종욱 전 국가정보원 3차장, 김용빈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 증인신문
△ 2월 13일
- 윤 대통령 탄핵심판 8차 변론, 조태용 국정원장,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 조성현 수도방위사령부 제1경비단장 증인신문
△ 2월 18일
- 윤 대통령 탄핵심판 9차 변론, 국회·윤 대통령 측, 각각 2시간씩 현재까지 주장 및 서면증거 요지 등 정리해 발표
△ 2월 20일
- 윤 대통령 탄핵심판 10차 변론, 한덕수 국무총리,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조지호 경찰청장 증인신문
- 헌재, 2월 25일 변론 종결 고지
△ 2월 25일
- 윤 대통령 탄핵심판 11차 변론. 윤 대통령·국회 측 각각 2시간씩 종합변론, 최종 의견 진술
△ 3월 7일
- 서울중앙지법, 윤 대통령 구속취소 청구 인용
△ 4월 4일
-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전원일치 인용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