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백악관이 상호관세 발표로 국제 무역 질서에 주도권을 쥐게 됐다고 평가했습니다.
캐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6일(현지시각) A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해당 국가 들의 협상 요청이 쇄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구체적으로 "50개 이상의 국가"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협상 개시를 요청해왔다고 밝혔습니다.
해싯 위원장은 협상을 요청해 온 국가들에 대해 "많은 관세를 부담한다는 것을 이해하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것"이라며 상호관세 발표에 따른 효과로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새로운 관세 정책으로 미국 내 물가가 치솟을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나는 (관세가) 미국 소비자에게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 금리 인하를 압박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일각의 의심에 대해서는 연준의 독립성을 존중한다며 "대통령도 의견을 개진할 수는 있지만, 연준에 대한 정치적 강압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이번 상호관세 대상 국가에 러시아가 포함되지 않은 것과 관련해 해싯 위원장은 "러시아, 우크라이나와 종전 협상이 진행 중이고, 나는 대통령이 두 가지 문제를 하나로 묶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본다"며 "그렇다고 해서 러시아가 다른 나라와 달리 대우받는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즉답을 피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