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측은 18일 헌재에서 열린 윤 대통령 탄핵심판 9차 변론에서 '소추 사유 입증을 위한 증거'로 조 청장의 피의자 신문조서 일부를 공개했습니다.
해당 기록에 따르면 조 청장은 수사기관에 "전화를 받았더니 대통령은 저에게 '조 청장! 국회에 들어가는 국회의원들 다 잡아. 체포해. 불법이야'라고 했다. 뒤의 5회 통화 역시 같은 내용이었다. 대통령이 굉장히 다급하다고 느꼈다"고 진술했습니다.
비상계엄 선포 당일인 지난해 12월 3일 밤 11시 반부터 다음 날 새벽 1시 3분쯤까지 윤 대통령에게 비슷한 내용의 전화를 6회 받았다는 진술입니다.
또한 조 청장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이 12·3 계엄 사태 당시 첫 통화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우원식 국회의장, 김동현 판사 등 15명의 이름을 불러줬다고 진술했습니다.
두 번째 통화에선 "한동훈 추가입니다"라고 말했다고도 했습니다.
이와 관련 윤 대통령 변호인단은 거세게 반발했습니다.
조대현 변호사는 "법정에 증인으로 나오지 않은, 피청구인(윤 대통령) 측에서 반대신문으로 신빙성을 탄핵할 수 없는 진술 조서에 대해 증거로 조사하는 것은 법률(형사소송법)에 위반된다"면서 "증거 조사 대상에서 제외해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이어 "그런 진술 조서의 진술 내용까지 증거로 조사하면 형사재판 절차에서 증거로 쓸 수 없는 것을 탄핵심판 절차에서 증거로 썼다는 비난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은 그러나 "재판부의 증거 (채택) 결정은 이미 4차 기일에 이뤄졌다"면서 "지금 이의신청하는 것은 기간을 놓친 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고, 이미 그 점에 대해서는 두차례 이상 재판부의 의견을 밝혔다"고 짚었습니다.
자신의 이의 신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조 변호사는 가방을 들고 심판정에서 퇴장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