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반려동물 1,500만 시대, 반려동물이 먹는 사료의 원료는 대부분이 수입 원료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인데요.
단백질과 미네랄 등 영양소가 풍부한 전남 쌀을 활용한 고품질 반려동물 사료가 곧 공급될 예정이어서 쌀 소비 부진 해소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강동일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마트 반려동물 코너를 채운 사료 대부분은 해외 브랜드입니다.
국내 펫푸드 시장에서 해외 브랜드가 차지하는 점유율은 70%를 훌쩍 넘습니다.
▶ 싱크 : 이경열 / 목포시 연산동
- "주로 외국산들이 대부분이기도 하고, 국산 제품들이 제가 알기로는 많지는 않은 걸로 알고 있거든요. 후기들 대부분 좋은 것도 웬만하면 외국 제품이더라고요..."
국내 반려동물 사료 시장은 올해 2조 원대 규모로 성장했습니다.
특히, 사료의 주원료인 곡류 가운데 단백질과 미네랄 등 영양소가 풍부하고 소화가 용이한 국내산 쌀이 펫푸드 원료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국내 펫푸드 업체인 펫메이트와 동원F&C, 그리고 전남농협이 손을 잡고 전남산 쌀로 가공한 고품질 사료를 만들기 위해 나섰습니다.
▶ 싱크 : 양우석 / 펫메이트 대표이사
- "애완동물에게 필요한 단백질 함량이나 미네랄 함량이 우수해서 저희가 강진쌀과 공급계약을 체결하게 되었습니다."
쌀 소비가 계속 줄어드는 상황에서, 반려동물 사료 시장은 남는 쌀 소비를 위한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습니다.
이번 협약으로 전남농협은 1년에 쌀 60톤가량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됩니다.
우리 농산물로 만든 안전한 고품질 사료가 반려인들의 선택을 받아 침체된 쌀 소비를 촉진하는 새로운 희망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C 강동일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