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출규제 강화 등의 영향으로 '전세의 월세화'가 가속하는 가운데 올 9월 전국 전월세 거래의 65%를 월세가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택 공급지표는 인허가·착공·분양·준공 모두 전월 대비 모두 증가했고,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소폭 감소했습니다.
국토교통부가 31일 발표한 9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신고일 기준 지난달 비(非)아파트를 포함한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6만 3,365건으로 전월 대비 37.0% 증가했습니다.
수도권(3만 1,298건)은 전월과 비교해 44.4%, 지방(3만 2,067건)은 30.5% 각각 늘었습니다.
서울(1만 995건) 거래량이 50.8% 늘어난 가운데 강북(5,797건)은 47.9%, 강남(5,198건)은 54.1% 각각 증가했고 강남 4구(서초·강남·송파·강동구)는 1,909건으로 30.2% 늘었습니다.
9월 전국 아파트 거래량은 전월 대비 42.4% 증가한 4만 9,665건으로 서울(6,796건)은 63.6%, 수도권(2만 343건)은 52.4% 각각 증가했습니다.
전국 전월세 거래량은 23만 745건으로 전월 대비 7.9% 증가했습니다.
임차 유형을 보면 전세 거래량은 8만 75건으로 전월보다 10.3%, 보증부 월세와 반전세 등을 포함한 월세 거래(15만 670건)는 6.7% 늘었습니다.
9월 전월세 거래 중 월세 비중은 65.3%였습니다.
작년 동월 대비로는 전세는 1.9% 줄어든 반면 월세는 38.8% 늘어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1∼9월 누계 기준 월세 비중은 2021년 43.0%에서 2022년 51.8%, 2023년 55.1%, 지난해 57.4%에 이어 올해 62.6%를 기록하며 계속 커지는 추세입니다.
9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 6,762가구로 전월 대비 0.2% 증가했습니다.
다만 준공 후 미분양(2만 7,248가구)은 전월보다 1.2% 감소했습니다.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은 2만 2,992가구로 전체의 84.4%를 차지했습니다.
 
                

 제보
제보
 로그인
로그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