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을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열흘간 해당 지역 부동산 시장이 크게 위축되고 있습니다.
2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10월 16일부터 25일까지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564건으로 직전 열흘(2천679건) 대비 78.9% 급감했습니다.
규제지역 지정으로 무주택자와 1주택자의 LTV가 70%에서 40%로 축소된 것이 주된 요인입니다.
매물도 현격히 줄었습니다.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물은 16일 7만 4,044건에서 25일 6만 6,647건으로 10% 감소했습니다.
갭투자 매물 회수와 대출규제 강화로 매도 계획을 접은 매도자들이 매물을 거둬들인 영향입니다.
부동산R 114 집계로는 10월 20~24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이 0.08%로 직전 주(0.42%) 대비 큰 폭 둔화했습니다.
가격이 하락할 지도 관심거립니다.
정부는 9·7 공급대책의 후속 작업을 이어가며 시장에 공급 시그널을 주는 데 주력할 방침입니다.
내년부터 입주 물량 감소에 따른 공급 절벽이 가시화되는 만큼 수요 억제책만으로는 가격 안정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올해 27만 7,617가구에서 내년 21만 483가구로 감소할 전망입니다.
서울은 4만 2,684가구에서 2만 8,984가구로, 임대 물량 제외 시 3만 2,810가구에서 1만 7,687가구로 줄어듭니다.
여당과 정부는 서울을 중심으로 연도별·구별 구체적인 공급 계획을 연내 발표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일각에서는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폐지나 유예기간 연장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국민주택 규모를 전용면적 60㎡로 하향 조정하면 공급량을 대폭 늘릴 수 있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