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 관장은 현지시각 24일 영국 케임브리지대 아시아·중동학부에서 한국 미술 관련 강연을 한 뒤 대법 판결에 대해 묻는 한국 언론 질문에 "지금 그에 대한 말씀을 드리는 건 적절치 않은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16일 대법원은 최 회장의 상고를 받아들여 SK 측에 흘러 들어갔다는 노태우 전 대통령의 300억원 비자금을 전제로 한 2심 판단을 파기했습니다.
앞서 2심은 노 전 대통령의 비자금이 최
이에 따라 SK 주식도 재산 분할 대상으로 보고 최 회장이 노 관장에게 재산 분할로 1조 3,808억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이 2심 판단을 뒤집으면서 최 회장이 노 관장에게 지급해야 할 재산 분할 액수는 종현 선대회장 쪽으로 흘러 들어갔으며 선대회장의 기존 자산과 함께 당시 선경(SK)그룹 종잣돈이 됐다고 봤습니다.
파기환송심 재판부가 다시 결정하게 됐습니다.
대법원은 노태우 전 대통령의 300억원 비자금이 설사 SK 측에 흘러 들어갔더라도 이는 뇌물로 보인다면서 불법 조성한 자금을 분할 대상으로 삼아선 안 된다고 판단했습니다.
노 관장은 이날 케임브리지대에선 인공지능(AI) 시대에 한국 미술이 가야 할 길에 대해 강연했습니다.
노 관장은 "AI 시대에 우리는 종종 지능을 모든 문제의 궁극적 해결책으로 여기지만, 오히려 세상은 점점 더 분열되고 불평등해지며 자멸적으로 변해가고 있다"며 AI의 한계를 지적했습니다.
노 관장은 이런 상황에서 과거 동아시아 사상가들이 논의한 도덕적 지향 등의 주제를 재조명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AI 시대에 현대 이성을 압도하는 딜레마를 헤쳐 나갈 자원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