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대중 전 대통령의 둘째 아들 김홍업 씨가 향년 75세의 일기로 별세했습니다.
김대중평화센터는 24일 김홍업 김대중평화센터 이사장이 숙환으로 별세했다고 밝혔습니다.
김대중평화센터는 "고인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곁을 지키며 대한민국 민주화 운동의 중심에서 묵묵히 헌신해 온 숨은 공로자였다"면서 "1997년 대통령 선거에선 탁월한 선거 전략가로 활약하며 정권교체를 이끈 주역이었다"고 고인을 추모했습니다.
1950년 전남 목포에서 태어난 고인은 군사정권 시절 탄압 받은 부친 김 전 대통령의 역정을 함께하는 동반자로 살아왔습니다.
고인은 1976년 김 전 대통령이 3·1 민주구국 선언 사건으로 투옥되자 모친 이희호 여사, 재야인사들과 함께 구명 운동을 펼쳤습니다.
당시 이 여사 등이 입에 십자가 모양의 검은 테이프를 붙이고 벌인 침묵 시위를 고인이 기획했다고 김대중평화센터는 전했습니다.
고인은 1980년 신군부 시절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 때에는 시위 배후 조종 혐의로 지명수배됐고, 3개월간 도피 생활 끝에 체포돼 고문당하기도 했습니다.
김 전 대통령의 미국 망명 시절에는 동행해 '미주인권문제연구소' 이사로 활동하며 해외에 한국 민주화 운동 지지를 끌어내는 데 공을 세웠습니다.
고인은 고(故) 김근태 전 의원 고문 사건을 폭로하는 부인 인재근 전 의원의 녹음을 뉴욕타임스에 제보했고, 이를 통해 국제 사회의 연대를 이끌어 낸 공도 있다고 김대중평화센터는 소개했습니다.
1997년 대선에서는 김 전 대통령의 승리에 기여했습니다.
고인이 설립한 정치 홍보·기획사 '밝은 세상'이 당시 인기 그룹 DJ DOC의 노래를 개사해 김 전 대통령 선거 광고 노래로 유명한 'DJ와 함께 춤을'을 만들었습니다.
김대중 정부 말기에는 비리 사건에 연루돼 수감 생활을 하기도 했습니다.
2007년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 당선돼 제17대 국회의원도 지냈습니다.
장례는 가족장으로 치러지며 김대중평화센터와 김대중재단이 주관합니다.
유족으로는 부인 신선련 씨와 아들 종대, 종민 씨 등이 있습니다.
빈소는 서울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에 차려질 예정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