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18민주화운동 관련 뉴스 기사에 왜곡·폄훼 댓글이 잇따랐지만, 포털의 자율 규제는 유명무실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일 5·18기념재단에 따르면, 채영길 한국외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팀과 민주언론시민연합이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9월까지 27개 언론사 네이버 뉴스 댓글을 분석한 결과 7,934건의 5·18 왜곡·폄훼성 댓글이 신고됐습니다.
이 중 클린봇 자동 필터링은 673건(8.48%), 작성자 자진 삭제 669건(8.43%), 명예훼손 등 게시 중단 46건(0.58%), 운영규정 미준수 삭제 10건(0.13%)에 그쳤습니다.
나머지 6,536건(82.38%)은 모두 수동 신고로 삭제됐습니다.
플랫폼의 자율 규제 기능이 사실상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연구진은 보고 있습니다.
댓글 유형은 지역 혐오 2,967건(37.40%), 가짜유공자 색출 주장 1,640건(20.67%), 이념 비난 860건(10.84%), 5·18 무장폭동설 유포 804건(10.13%)입니다.
이어 오월정신 폄훼 640건(8.07%), 북한군 개입 349건(4.4%), 기타 298건(3.76%), 내란 정당화 272건(3.43%), 전두환 옹호 104건(1.31%) 순으로 파악됐습니다.
무장 폭동, 북한군 개입, 학살 주범 전두환 옹호는 전체의 15.84%인데, 대표적인 역사 부정과 허위 사실 사례로 꼽힙니다.
댓글 작성자 수는 5321명으로, 1명당 평균 1.49개의 왜곡·폄훼 댓글을 쓴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상위 20명이 전체 댓글의 4.16%를 작성한 것으로도 파악됐습니다.
이들은 1인당 16.5개, 전체 평균의 11배에 달하는 왜곡·폄훼 댓글을 썼습니다.
왜곡·폄훼 댓글은 12·1·5·6월에 6805건(85.77%) 작성돼 연말연초와 5~6월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18기념재단과 민언련은 오는 5일 국회에서 5·18 언론 포털 모니터링 및 정책대안 연구결과 발표·토론회를 엽니다.
포털 뉴스와 댓글에서 나타나는 5·18 왜곡·폄훼 표현의 실태를 공론화하고 플랫폼의 책임성과 피해자 보호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합니다.
윤목현 5·18기념재단 이사장은 "5·18에 대한 허위조작정보와 혐오표현은 단순한 온라인 댓글 문제가 아니라 민주주의 가치와 피해자 인권을 훼손하는 사회적 문제"라며 "법적 처벌과 함께 사회적 인식 개선, 시민참여 확대가 병행될 때만이 5·18의 역사적 진실과 민주주의 가치가 온전히 지켜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신태섭 민언련 공동대표도 "온라인 공간과 극우 미디어에서 기승을 부리는 역사 왜곡·폄훼를 바로잡는 플랫폼 책임 제도화, 시민 대응 체계 마련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