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의회가 광주·전남 특별광역연합 규약 심의를 재차 보류하면서 지역 상생을 위한 관련 조직의 연내 출범이 불투명해졌습니다.
도의회 기획행정위원회는 23일 회의를 열었지만, 전남지사가 제출한 '광주·전남 특별광역연합 규약안' 심사를 상정하지 않았습니다.
기획행정위는 전날 회의를 열고 특별광역연합 규약안을 심사했지만, 의원 간 합의를 이루지 못해 보류하고 이날 다시 논의할 예정이었습니다.
앞서 기획행정위는 지난 15일에도 회의를 열어 특별광역연합 규약안을 심사했지만, 보류한 바 있습니다.
15일 회의에서 의원들은 광역의원 구성 비율을 문제 삼아 심사를 보류했지만, 21일 열린 회의에서는 최근 국가 AI컴퓨팅센터 후보지 선정 문제가 화두가 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삼성 SDS컨소시엄이 국가 AI컴퓨팅센터 후보지로 광주가 아닌 전남을 선택하자 광주시와 시의회를 중심으로 강하게 반발한 것이 문제라는 지적입니다.
강문성 기획행정위원장은 "위원 대다수가 컴퓨팅센터 후보지 선정 발표 이후, 광주시와 시의원들이 광주에 와야 한다며 무리하게 요구하는 것에 대해 반감을 갖고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광주의 주장은 상생의 정신에 어긋난다는 판단에 일단 광역특별연합 규약안 심사를 보류하기로 했습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강 위원장은 "전남은 22개 시군으로 구성돼 있어 지역마다 광주와 연합에 대한 의견이 다릅니다"라며 "지역 소멸도 심각해 어느 지역보다 광역연합의 필요성을 느끼지만, 상생에 반하는 광주의 모습에 반대 의견이 많았다"라고 말했습니다.
도의회는 오는 11월 3일 제395회 정기회의를 열 예정이지만, 특별광역연합 규약안 심사가 상정될지는 미지수입니다.
광주시의회는 지난 16일 행정자치위원회를 열어 규약안을 원안 가결해 오는 24일 본회의에 상정할 예정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