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 목포 고하도에서 멸종위기 식물이 다량 발견됐습니다.
1일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목포 고하도에서, 총 431종의 관속식물이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자원관은 2021년 개관 이후, 기관이 자리한 고하도를 섬 지역 생물다양성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아 정밀 식물상 조사를 수행해 왔습니다.
특히 △멸종위기야생식물, △희귀식물, △고유식물, △외래식물 등의 분포를 체계적으로 기록하며, 고하도의 생태적 특성과 식물다양성 파악에 주력해 왔습니다.
고하도는 다양한 식물이 자생하는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으로, 육지와 가까운 입지 조건과 관광객 유입 등으로 인한 외래식물 침입 우려가 큰 만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됩니다.
자원관은 이러한 특성을 반영해 개관 초기부터 고하도를 우선 조사 지역으로 설정하고 연구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3년간의 조사 결과, 멸종위기야생식물 2급인 석곡과 지네발란의 고하도 내 분포가 처음으로 확인됐습니다.
한반도 고유식물인 병꽃나무, 외대으아리, 좀땅비싸리뿐 아니라 왕자귀나무, 자란, 가는잎산들깨 등 보존 가치가 높은 희귀식물이 다수 서식하고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고하도가 다양한 식물군이 생육하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임이 확인됐습니다.
자원관은 앞으로도 외래식물의 확산 방지를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자생식물 보호와 지속 가능한 활용 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입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내 자원식물 분야 전문 학술지인 '한국자원식물학회지'에 게재됐으며, 향후 도서·연안 생물다양성 연구와 보전 전략 수립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