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전력 직접거래 길 열려

    작성 : 2025-11-05 14:10:21
    ▲ 전남해상풍력1단지 현장 [SK 이노베이션 E&S]

    정부가 전남, 제주, 부산, 경기 등 4곳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공식 지정했습니다.

    이 지역에서는 분산형 전력 생산과 소비가 허용되고, 발전사업자와 전기사용자 간 직접거래(Direct PPA)가 가능해집니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5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에서 김성환 장관 주재로 제36차 에너지위원회를 열고 분산에너지특화지역 지정안을 의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회의는 기후에너지환경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린 에너지위원회로, 제8기 민간위원 위촉과 함께 제7차 에너지이용 합리화 기본계획도 심의·의결했습니다.

    '분산에너지특화지역'은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원거리 송전 대신 수요지 인근에서 에너지를 생산·소비하는 지산지소형 시스템을 도입하는 지역입니다.

    이번에 지정된 지역들은 각기 다른 에너지 여건을 바탕으로 특화 모델을 추진합니다.

    제주도는 풍부한 재생에너지 자원과 실시간 전력시장 등 제도적 기반을 활용해 △P2H(재생전력의 열에너지 전환) △가상발전소(VPP) △V2G(전기차-전력망 연계) 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입니다.

    전남은 태양광 발전량이 전국 최고 수준이지만 송전망 부족으로 출력 제어가 잦은 지역입니다.

    정부는 해남·영암 일대에 데이터센터를 유치하고, AI 기반 마이크로그리드 실증 사업을 통해 생산-소비 균형을 맞출 예정입니다.

    부산은 항만·산단 중심의 대규모 전력 수요 지역으로, 에너지 저장 장치(ESS)를 활용해 전기요금 절감형 산업단지 모델을 추진합니다.

    경기도는 공원 내 태양광·ESS·전기차 충전소를 연계한 마이크로그리드 실증 사업을 통해, 저장된 전력을 전기차 충전에 활용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모델을 검증합니다.

    한편 울산·충남·경북 등 3곳은 이번 회의에서 보류됐으며, 정부는 추가 검토를 거쳐 차기 에너지위원회에서 재심의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기후에너지환경부 관계자는 "이번 특화지역 지정으로 지방분권형 에너지 생태계의 첫 발을 내딛었다"며 "전력망 부담을 줄이고, 지역 중심의 에너지 자립 기반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