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대부터 30대까지 청년층의 독서량이 14년 새 절반 수준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의 '2025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1년 동안 13~19세의 1인당 평균 독서권수는 11.7권으로 집계됐습니다.
2011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후 가장 적은 수치입니다.
10대의 평균 독서권수는 2011년 22.2권에서 2015년 15권으로 떨어졌다가 2017년 15.7권으로 조금 늘었지만 2019년과 2021년 각각 13.1권, 2023년 12.6권으로 줄었습니다.
지난 1년간 20∼29세의 1인당 평균 독서권수는 9.4권으로, 2011년(18.8권)의 절반 수준에 그쳤습니다.
2019년(9.8권)부터는 줄곧 한 자릿수에 머물고 있습니다.
30∼39세 역시 2011년 16.6권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해 올해 조사에서 8.1권으로 역대 최소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40대 이상에서는 큰 변화는 없었지만, 전반적인 독서량은 적었습니다.
40∼49세의 평균 독서권수는 2011년 13.0권에서 2021년 9.0권까지 감소했다가 올해 조사에서 10.4권으로 소폭 증가했습니다.
50∼59세는 2011년 7.7권에서 2019년 5.2권으로 떨어진 뒤 올해 6.2권으로 다소 늘었으며, 60∼69세는 2011년 이후 큰 변동 없이 4.0권 내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번 조사에서 의미하는 '독서'는 종이책뿐 아니라 전자책과 오디오북을 모두 포함합니다.
소설과 시집 등이 포함되는 교양서적, 직업 관련 서적, 생활·취미·정보 서적, 잡지, 만화 등이 해당됩니다.
다만, 문제집 등 학습서는 제외됩니다.
청년층 독서량 감소는 스마트기기 이용 증가와 콘텐츠 소비 방식의 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데이터처의 '2024 생활시간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디어를 이용한 평균 여가시간은 2019년 2시간 9분에서 2024년 2시간 28분으로 늘었습니다.
이 중 실시간 방송 시청은 1시간 34분에서 1시간 30분으로 비슷했지만, 동영상 시청 시간은 13분에서 36분으로 세 배 가까이로 증가했습니다.
반면 책 읽기(7분)와 인터넷 정보 검색(9분)은 2019년과 2024년 사이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