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워싱턴의 싱크탱크 한미경제연구소(KEI)는 유고브에 의뢰해 미국인 1,181명을 상대로 지난달 실시한 여론조사(오차범위 ±3.34%P)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3일(현지시간) 밝혔습니다.
한국에 대한 관세를 '올려야 한다'는 응답률은 10%로 나타났습니다.
'현 수준 유지'와 '내려야 한다'는 응답률은 각각 33%를 기록했습니다.
전체 외국에 대한 관세 인상 지지가 15%를 기록한 가운데, 미국의 주요 교역국별로 보면 중국(26%), 멕시코(18%), 캐나다(15%), 유럽연합(EU·14%), 일본(12%), 한국(10%) 순이었습니다.
한미 교역량에 대해선 '늘려야 한다'가 26%, '현 수준 유지'가 42%, '줄여야 한다'가 9%로 나타났습니다.
교역량을 늘려야 한다는 응답이 많은 국가는 캐나다(38%), 일본(33%), EU(31%), 멕시코(28%), 한국(26%), 중국(14%) 순이었습니다.
한국의 문화가 미국에서 한국의 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이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대한 응답은 '정말 그렇다' 20%, '약간 그렇다' 40%, '약간 그렇지 않다' 5%, '정말 그렇지 않다' 2%로 집계됐습니다.
긍정적 영향을 주는 한국 문화로는 음식(42%), 영화·화장품·예술작품(각 15%), K-팝과 TV쇼(각 12%)를 꼽았습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에 두 나라를 추가할 경우 어디가 돼야 하느냐는 질문(복수응답)에는 일본이 52%로 가장 많았고 독일(41%), 인도(20%), 한국(17%), 남아프리카공화국(12%) 순으로 답했습니다.
국가별로 향후 10년간 미국의 안보에 '치명적 위협'이 될 것으로 보는 국가는 러시아(54%), 중국(48%), 북한(37%), 이란(34%) 순이었습니다.
미 행정부가 북한 문제를 잘 다루고 있다는 응답률은 28%로 나타났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1기 말(2020년)에는 이 비율이 31%였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