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 담양군청에서 퇴직 후 담양문화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강성남 시인이 신작 시집 『담양 가세 담양 사세』(시와사람刊)를 출간했습니다.
이번 『담양 가세 담양 사세』는 "함께 담양으로 가자, 그리고 함께 담양에서 살아가자"는 의미로, 시인이 평생 살아온 '고향'에 대한 근원적 애정을 시의 언어로 응축한 작품집입니다.
담양의 자연과 역사, 마을 정서, 그리고 그곳에 살아가는 이들의 삶과 이야기를 총 78편의 시로 정감 있게 담아냈습니다.
죽녹원, 명옥헌 원림, 담양습지, 추월산, 소쇄원, 상월마을 등 담양을 대표하는 공간들이 시 속에 등장하며, 단순한 지명을 넘어 삶과 감정의 배경이자 주인공으로 살아 숨 쉬고 있습니다.
담양의 풍경과 정서를 통해 보편적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동시에, 지역성과 문학성의 조화를 이루며 독자에게 잔잔한 울림을 전합니다.
아울러 지역성을 뛰어넘어 현대인의 보편적인 감정까지 포착한 '담양 기록문학의 결정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그의 시는 서정적 묘사에만 머무르지 않습니다.
단순히 대상의 아름다움을 포착하는 데 그치지 않고, 담양이라는 구체적 공간을 통해 시대의 숨결을 불러내며 보편적 정서를 독자의 가슴에 불어넣습니다.
눈 내리는 소리 들으며
살가운 이웃처럼 논두렁을 맞대는 들녘
(…)
하얗게 질린 나무들은
만개한 눈꽃을 달고, 제자리걸음으로
병풍산을 향해 굽이친다
(…)
모든 빛깔은 흰빛으로 통일하고
서로에게 결빙되는 타성을 따스하게 녹인 뒤
일상의
대화가 시작되었다
(대전면 들녘 全文)
이 시어는 담양의 겨울 풍경에 깃든 생명력과 연민을 동시에 섬세하게 그려내며, 자연 속에 공존하는 인간의 감정까지 포착하고 있습니다.
강성남 시인은 "시는 결국 내가 살아온 길을 되돌아보는 거울이며, 그 거울에는 언제나 담양이 담겨 있었다"고 고백합니다.
나아가 "시를 쓴다는 것은 설렘의 연속이며 삶의 고단함 속에서 빛나는 무언가의 발견"이라 덧붙였습니다.
시인은 시, 시조, 수필, 아동문학 등 장르를 넘나들며 동시집 『하얀 미소』, 동요집 『새싹』, 시집 『그리운 사람들』을 펴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