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에 따라 실시되는 조기 대선은 오는 6월 3일 전에 치러질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새로운 정부가 수립될 예정인데, 이번에는 '호남의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도록 지역 내에서 힘을 모아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최근 호남의 정치력은 여야 할 것 없이 '호남패싱' 논란이 일어날 정도로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지난 2022년 윤석열 정부 출범 당시 19명의 장관 가운데 광주·전남 출신은 단 한 명도 없었습니다.
지역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보내준 민주당 역시 이재명 대표 2기 체제에 광주·전남 출신 지도부가 한 명도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여야 가릴 것 없이 호남의 발언력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인데, 줄어든 입지는 고스란히 정책과 예산에도 반영됐습니다.
AI 선도 도시를 천명한 광주의 AI실증밸리사업은 지난해 예타면제 신청 이후 감감무소식이고, 전남의 광주-완도 고속도로 2단계 사업이나 첨단의료 복합단지 조성도 공회전만 반복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정부가 광주·전남에 약속했던 전체 사업비 36조 6천여억 원 가운데 실제 편성된 국비는 4천4백여억 원으로 1% 수준에 그쳤습니다.

조기 대선으로 구성되는 새 내각에는 호남 출신 인사가 포함될 수 있도록 지역의 목소리를 결집해야 하는 시점입니다.
지병근 조선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호남 정치력 복원은 단순히 새 정부에 호남 출신을 포함시키느냐 마느냐의 문제를 넘어 호남 정치인이 한국 정치의 지도자로서 제 역할들을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여기에 60일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지역 현안을 조기 대선 주자들의 과제로 반영될 수 있도록 힘을 싣는 것 역시 숙제입니다.
김현철 전남연구원 부원장은 "지난해 말부터 조기 대선 가능성에 대비해 대선 공약을 준비해 왔다"며 "조만간 전문가, 지역민들의 의견 수렴 과정을 거친 뒤 미래 발전 과제를 확정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탄핵 인용으로 정국 혼란도 차츰 가라앉을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조기 대선까지 남은 60일의 시간이 호남의 목소리를 담는 '골든타임'이 될지 관심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