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22일 발표한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에서 올해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작년 대비 0.9%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지난 1월 발표한 '2025년 경제정책방향'의 1.8%에 비하면 약 8개월 만에 0.9%p를 낮췄습니다.
정부의 올해 전망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1.0%보다 낮고, 국제통화기금(IMF)·한국개발연구원(KDI)·한국은행·아시아개발은행(ADB)의 0.8%보다는 높습니다.
정부는 올해 1분기(0.0%)와 2분기(0.5%)엔 부진했지만 하반기부터 추가경정예산 등 정책효과가 가시화하며 소비를 중심으로 성장 회복세가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이를 토대로 내년 성장률은 올해보다 2배 높은 1.8%로 잡았습니다.
이번 전망치에는 최근 미국이 언급한 반도체 품목 관세는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김재훈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반도체는) 불확실성이 너무 커 반영하지 않았다"고 했습니다.
정부는 민간소비 증가율은 1.3%로 작년(1.1%)보다 0.2%p 높여 잡았습니다.
설비투자는 올해 증가율이 2.0%로 작년(1.7%)보다 0.3%p 높겠지만 내년에는 1.5%로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건설투자는 올해 8.2% 감소하며 작년(-3.3%)보다도 상황이 나빠질 것으로 봤습니다.
다만 하반기부터 점차 부진이 완화되며 내년에는 2.7% 증가할 것으로 정부는 예상했습니다.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정부 연구개발(R&D) 예산 확대, 주요 기업의 연구개발 수요 등으로 개선돼 올해 2.4%, 내년 2.7%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미국 관세 영향에 올해 수출 증가율은 0.2%로 작년(8.1%)에 비해 급감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반도체와 선박은 수출 증가세를 이어가겠지만, 품목관세가 적용되는 자동차·철강과 유가하락·공급과잉으로 어려움을 겪는 석유제품·화학에서 끌어내릴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관세협상 타결로 불확실성이 상당히 줄었지만 반도체·의약품 품목관세 등의 위험 요인을 감안해 내년 수출은 0.5% 감소로 전망했습니다.
올해 수입은 국제유가 하락 영향으로 0.6% 감소하고 내년에는 기저효과 등에 도로 0.5% 늘 것으로 봤습니다.
정부는 올해 취업자 수가 17만 명 늘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고용률은 취업자 증가와 경제활동 참여 확대 영향으로 62.8%로 작년(62.7%)보다 소폭 상승하고 실업률은 2.8%로 작년과 같을 것으로 봤습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와 내년 모두 물가안정 목표인 2.0%와 같다고 예상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