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과 새미래민주당 전병헌 새미래민주당 전병헌 대표가 반(反) 이재명 기조와 개헌 추진에 공감했습니다.
김 비대위원장과 전 대표는 20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의 한 호텔에서 회동했습니다.
김 비대위원장은 회동 이후 기자들과 만나 "전 대표와 많은 말씀을 나눴다"며 "계엄 단절과 극복을 전제로 이재명 독재 집권을 저지하고 제7공화국 개헌을 위한 통 큰 협의를 앞으로 계속해서 지속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전 대표는 "개헌을 통해 2028년도에 총선과 대선을 동시에 치르고, 당선되는 대통령께서는 제7공화국을 출범시키는 디딤돌 내지는 마중물 역할을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협력해 나가자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전 대표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이야기한 개헌안은 (지난) 2022년 (대선)에도 이미 이야기했던 것"이라며 "그 이후 본인의 범죄 방탄을 위해 (개헌은) 안중에도 없었고, 이번 계엄 과정에서 절호의 개헌 기회가 있었는데도 완전히 외면하고 있다가 대선이 임박해 또 개헌을 이야기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후보의 개헌 제안은) 늘 대선 전에 개헌을 이야기하고 대선이 끝나면 다시 없었던 일로 돌아가는 '도돌이표형' 개헌일 뿐"이라며 "특히 5년 임기를 다 마치고 4년 연임 개헌을 하겠다는 건 또 다른 '사사오입' 개헌으로 정권을 연장하려는 의도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속임수 개헌 제안"이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이어 "한동훈 전 대표와 한덕수 전 국무총리, 김문수 후보가 이야기한 '3년 임기단축' 개헌이 제7공화국을 확실히 열어젖힐 수 있는 약속"이라며 "그 과제를 실현할 수 있도록 대선 과정에서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전 대표는 향후 국민의힘과의 연대 가능성에 대해서는 "이낙연 전 총리는 국민의힘과의 연대나 협력에 대해 아직 특별하게 관심을 갖고 있지는 않다"면서도 "국민의힘의 해체 수준의 환골탈태·쇄신 의지와 내부 전열 정비가 가장 중요한 전제가 되지 않을까 생각하고, 김 비대위원장에게 이런 부분을 신속하고 강력하게 촉구했다"고 말했습니다.
김문수 후보에 대한 지지 선언의 전제조건으로는 "개헌과 관련한 확실한 협의가 구체적으로 있어야 하고, 대선 이후 정치적 쇄신과 대대적인 정계 개편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담보돼야 하지 않겠나"라고 언급했습니다.
김 비대위원장은 "앞으로 전 대표와 협력을 위해 많은 만남을 이어가겠다"고 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