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추석을 앞두고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공사장 인근 주민들은 긴급히 대피해야 했는데요.
건물 붕괴 우려를 두고 광주시청과 북구청의 판단은 엇갈렸습니다.
주민들은 혼란스러운데, 내년 시장 선거를 두고 기싸움을 펴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
임경섭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광주 중흥동의 도시철도 2호선 공사 현장.
주택 외벽에는 붕괴를 막기 위한 지지대가 설치됐습니다.
출입이 통제된 상가는 문을 닫았고, 지나다니는 행인조차 없습니다.
지난달 긴급 정밀안전점검 결과 11곳이 최하위인 E등급, 2곳은 D등급이 나오면서 주민 대피가 이뤄진 겁니다.
즉시 대피가 필요하다고 본 북구청의 조치였는데, 광주시와는 차이를 보였습니다.
▶ 싱크 : 오영걸 / 광주도시철도 본부장
- "법과 원칙이 정하는 기준 내에서는 저희가 최대한 지원과 협조를 통해서 우리 주민분들이 일상생활에 조기에 복귀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을 하겠습니다."
주민 안전을 두고 행정당국 간 상반된 조치에 주민들은 혼란스럽습니다.
▶ 싱크 : 중흥동 주민
- "철거라고 지금 팻말이 붙어 있어요. 그런데 그걸 무슨 보수를 합니까? 차로 말하면 폐차예요 폐차. 지금 도시철도 공사로 인해서 우리는 집이 이렇게 됐다고 생각을 하고."
문제는 광주시와 북구청 간 대립이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는 겁니다.
앞서 임동 전·일방부지 개발사업을 두고도 교통대책 수립에 공개적으로 대립각을 세우기도 했습니다.
단순한 행정 엇박자를 넘어 내년 지방선거를 두고 벌이는 기싸움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옵니다.
강기정 시장과 문인 북구청장 모두 차기 시장 선거에서 유력 주자로 거론되기 때문입니다.
향후 붕괴 위험 주민들의 이주 대책과 보상 문제가 남아있는 상황.
선거를 염두에 둔 기싸움으로 주민들의 피해가 커지지 않도록 적절한 대책이 필요합니다.
KBC 임경섭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