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더불어민주당이 공천 방식 확정과 선출직 평가 기준 마련 등 본격적인 지방선거 준비에 들어갔습니다.
특히 내년 지방선거는 기존의 경선 방식에서 변화가 예상되면서, 지방선거 출마 후보군들의 긴장감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형길 기자입니다.
【 기자 】
더불어민주당이 본격적인 내년 6·3 지방선거 준비 체제에 들어갔습니다.
가장 큰 관심은 이달 말 발표 예정인 후보 자격 심사 기준입니다.
컷오프 최소화 방침 속에 후보 자격 심사가 사실상 사전 컷오프 성격을 갖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현 단체장과 지방의원들의 선출직 평가도 관심입니다.
경선 가·감점의 사유가 되는 평가에서 하위 20%에 들어갈 경우 사실상 경선을 통과하기 어려운 구조는 지난 총선에서도 여실히 확인됐습니다.
권리당원의 표심 반영 비율과 당원 증가 여부에도 시선이 쏠리고 있습니다.
광주·전남에는 지난 8월 전당대회 당시 22만 명의 민주당 권리당원이 있었는데, 지방선거 경선 참여를 노리고 추가로 30만 명의 신규 당원 원서가 접수됐습니다.
이미 17만 명은 부적격 처리가 됐지만 중앙당은 주소지 중복 등 불법 사례가 많다며 전수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 싱크 :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사무총장
- "출마를 예정하고 있는 사람들이 만약에 이런(불법 당원권 행사) 시도를 했다면 출마 자격을 박탈하는 등 강력한 조치를 할 것입니다."
민주당 후보자 자격 규정은 이달 말 발표되고, 선출직 평가는 12월 중순부터 시작됩니다.
이어 내년 1월에는 중앙당 자격심사위원회를 설치하고, 선거를 100일 앞둔 2월 말부터 각 시도당의 공천관리위를 설치해 경선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KBC 이형길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