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kbc/image/2025/02/15/kbc202502150036.800x.0.jpg)
프랑스에 장기간 거주하려는 이민자들은 앞으로 좀 더 높은 등급의 프랑스어 능력시험을 통과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 시험이 프랑스에서 태어나 프랑스어를 모국어로 써 온 본토인들도 쩔쩔 맬 정도로 시험이 지나치게 까다롭다는 지적입니다.
14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은 프랑스 이민통합청(OFII)과 교육부 홈페이지에 따라 프랑스 정부가 작년 1월에 통과된 '이민을 통제하고 통합을 향상시키기 위한 법률'에 따라 내년 1월 1일부터 새 기준을 적용키로 했다고 보도했습니다.
프랑스에 살기 위해 다년 혹은 10년짜리 거주허가증을 신청하거나 시민권 취득을 위해 귀화신청을 하려는 이민자들은 일부 예외를 제외하면 시험을 치러서 각각 일정 기준 이상의 프랑스어 능력을 인정받아야 합니다.
능력 등급 기준은 유럽연합(EU)이 정한 유럽언어공통참조기준(CEFR)에 따릅니다.
내년 초부터 2∼4년 유효한 다년 거주허가증이나 영주권에 해당하는 10년 거주허가증을 신청하는 데 필요한 등급은 A2(초급 상)에서 B1(중급 하)으로 올라갑니다.
귀화를 신청하는 데는 말하기와 쓰기 두 과목 다 합격해야 하며, 합격 기준이 B1(중급 하)에서 B2(중급 상)으로 상향됩니다.
프랑스 보도채널 프랑스앵포는 프랑스에서 태어나 프랑스어를 모국어로 써 온 자원자 10명에게 실제 시험과 같은 조건으로 문제를 풀도록 해보니 상당수가 시민권 취득 기준에 미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5명은 평균 점수로는 합격선을 넘겼으나 쓰기 부문 점수가 기준 미달인 '과락'이었고, 2명은 시민권 취득 기준에 아예 못 미쳤습니다.
시험을 치른 10명 중 9명은 대학입학자격 합격증(바칼로레아)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문학 석사학위('Bac+5')가 있는 응시자도 "여러 문제를 틀린 것 같다"며 시험이 어려웠다고 프랑스앵포에 말했습니다.
난민들과 망명희망자들에게 프랑스어를 가르치는 펠릭스 기용 씨는 가디언에 "국적 취득이나 장기 거주허가를 받으려는 대부분의 외국인들에게 이 기준은 너무 높다"고 말했습니다.
가디언에 따르면 프랑스 의회 상원에 제출된 보고서는 새 기준 시행 첫 해인 2026년에 33만여 명이 시험을 치르고 이 중 약 6만 명이 불합격해 거주 자격을 상실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프랑스 정부는 기준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보수 성향인 브뤼노 르타이오 내무부 장관은 지난달 "만약 외국인이 프랑스에 몇 년간 합법으로 거주해 왔는데도 프랑스어를 못 한다면 노력을 안 한 탓"이라고 말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