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신 3사가 전국 226개 모든 기초자치단체에 대리점 설치 계획을 확정함에 따라 농어촌 등 지역에 따라 통신 대리점이 없어 불편을 겪는 일은 사라질 전망입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서삼석 의원(더불어민주당·영암무안신안)이 SKT·KT·LGU+로부터 제출받은 공문에 따르면, 통신 3사는 대리점이 없는 지역에 대해 단계별로 매장 구축 계획을 세우고 순차적으로 설치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2027년까지 전국 대리점 설치 완료KT는 대리점이 없는 3개 지역에 2026년 중 매장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SKT는 2026년 3월 신안군 설치를 시작으로 2027년 상반기까지 모든 지역 설치를 완료하고, LGU+는 2025년 12월부터 신안군에 설치를 시작해 2027년까지 47개 미설치 지역을 모두 해소한다는 방침입니다.
서삼석 의원이 지난 11일 지적한 바에 따르면, 당시 대리점이 없는 지자체는 △KT 3곳 △SKT 5곳 △LGU+ 47곳이었습니다.
이로 인해 유심 해킹 피해 발생 시, 주민들이 타 지역으로 이동해 유심을 교체해야 하는 불편이 지속돼 왔습니다.
"유심 해킹 사태 계기로 지역 간 불평등 해소"

서 의원은 "농어촌 역시 도시와 동일하게 공정한 통신서비스를 제공받을 권리가 있다"며, "유심 해킹 사태를 계기로 드러난 지역 간 서비스 불평등 문제를 반드시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통신 3사의 결단을 환영하며, 농어촌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점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유심 해킹 피해 이후 보안·지원 강화한편, 지난 4월 발생한 유심 해킹 사태로 약 2,696만 회선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이후, SKT는 디지털 취약계층 대상 '찾아가는 유심 교체 서비스'를 5월부터 시행했습니다.
또한 보이스피싱·스미싱 등 범죄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올해 12월까지 병행 추진할 계획입니다.
이번 조치로 도시와 농어촌 간 통신 서비스 격차가 완화되고, 전국 어디서나 신속한 유심 교체와 고객 응대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