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때 공공병원은 '적자' 눈덩이, 빅5 병원은 '떼돈' 벌어

    작성 : 2024-01-18 09:30:01
    ▲병상 자료 이미지
    코로나19 유행 기간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된 공공의료기관들은 적자인 반면, 서울 민간 '빅5' 병원은 떼돈을 번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빅5'는 서울대·세브란스·삼성서울·서울성모·서울아산병원을 말합니다.

    정부가 코로나 환자를 돌보는 데 모든 자원을 투입한 공공병원에는 충분한 보상을 하지 않았지만, 민간병원에는 중증환자 병상 확보 등을 위해 많은 지원을 한 결과입니다.

    18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공개한 '2022 회계연도 결산서'에 따르면 공공의료기관인 국립중앙의료원의 '의료손실'은 코로나19가 유행하면서 2020년 703억 원, 2021년 577억 원, 2022년 727억 원으로 크게 늘었습니다.

    역시 공공의료기관인 서울적십자병원의 의료손실도 2019년 54억 원에서 2020년 354억 원, 2021년 116억 원, 2022년 239억 원으로 불어났습니다.

    반면 '빅5' 등 민간 상급종합병원들의 실적은 크게 좋아졌습니다.

    서울아산병원은 2019년 의료이익이 551억 원이었는데, 2020년 266억 원, 2021년 1천262억 원, 2022년 1천690억 원으로 대폭 증가했습니다.

    세브란스병원의 경우 2019년 51억 원이었던 의료이익이 2020년 273억 원, 2021년 753억 원, 2022년 684억 원으로 코로나 기간에 크게 늘었습니다.

    삼성서울병원은 2019년 292억 원, 2020년 457억 원의 의료손실이 났다가 코로나 기간 흑자로 돌아서면서 의료이익이 2021년 83억 원, 2022년 530억을 기록했습니다.

    코로나 당시 정부가 민간병원의 중증환자 병상을 확보하기 위해 시설비와 장비비, 운영비, 인건비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했지만, 정작 병상과 인력을 총동원한 공공의료기관에는 충분한 손실 보상이 돌아가지 않았습니다.

    정부는 올해 공공병원 적자 보전을 위한 역량강화 사업 예산으로 국비 513억5천만 원을 배정했습니다.

    #코로나 #공공의료 #병원 #빅5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