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광주 도시철도공사 안에서 벌어진 성추행 사건의 파장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공사는 2차 피해 예방책을 마련하기는 커녕 이 사건을 외부에 알린 직원을 색출하고 있습니다.
징계 수위도 뚜렷한 이유없이 낮춰주는 등 공사에게 피해자 보호 의지는 애초부터 없었습니다.
고우리 기잡니다.
【 기자 】
성희롱 사건이 보도되자 광주도시철도공사가 가장 먼저 한 일은 제보자 색출이었습니다.
CG
인터뷰를 한 직원을 찾는다며, 직원 명단을 대조하고, 일부 직원들을 직접 추궁하기도 했습니다.
성희롱 피해자들에도 언론과 접촉한 사실이 있는지를 캐물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하지만 공사측은 그런 일은 없었다고 발뺌했습니다.
▶ 싱크 : 광주도시철도공사 관계자
- "분명히 말씀 드리지만 '색출'한 사람 저희가 적극적으로 찾아 드리겠습니다."
도시철도공사는 성희롱 가해자 43살 노 모씨에 대해 당초 해임을 결정했지만, 얼마 뒤 정직 3개월로 징계 수위를 낮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노 씨가 반성하고 있고, 피해자들이 사건의 파장이 커지는 것을 우려한다는 납득하기 어려운 이유를 내놨습니다.
정작 피해자들은 두 달 후 노 씨의 복직을 두려워하고 있지만, 공사는 여전히 뒷짐을 지고 있습니다.
피해자들이 경찰에 고소를 했으니 형사처벌 여부를 지켜보겠다는 무책임한 입장입니다.
2차 피해 예방에 나서기는 커녕, 사건을 축소하기에 급급한 광주도시철도공사가 또다른 성추행 가해자란 비난이 일고 있습니다.
KBC 고우립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