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현장실습으로 포장된 대학생들의 노동력
착취 현장, 연속보도해드리고 있는데요.
교육부가 관리·감독 책임을 대학측에
떠넘기면서 사실상 값싼 노동력 제공 수단으로 변질되도록 방치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
정의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교육부는 지금까지 단 한 차례도 실습 업체 현장을 들여다본 적이 없습니다.
사업 계획과 대학 재정 지원 여부는 교육부에서 결정하면서도 업체 현황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싱크 : 교육부 관계자
- "학생들이 적합한 수업을 하는 실습 기관은 학교에서 책임을 지고 관리를 해야죠. 참여 기업이 수천 개는 될 것 같은데, 그걸 저희가 어떻게 다 파악합니까"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대학생 현장실습 운영규정 개정안도 논란입니다.
현장실습 부실이나 근로 제공 사실이 적발되면, 업체나 대학이 아닌 학생의 학점을 취소하는 방안을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되면 학생들은 실습 현장에서 문제가 생겨도 입을 다물 수 밖에 없습니다.
▶ 인터뷰 : 이승희 / 광주시 청소년노동인권센터장
- "학생들은 학점 충족을 위해서 정말 아니꼽고 저임금으로 돈을 못받지만 할 수 밖에 없는 그런 딜레마에 빠진다는 것이죠"
현장실습의 수혜자가 돼야 할 학생들의 목소리는 외면한 채, 대학 측에만 관리·감독의 책임을 묻는 교육부.
사실상 현장실습을 값싼 노동력 제공으로 변질되도록 방치하고 부추겼다는 지적을
면키 어려워 보입니다.
kbc 정의진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