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값싼 노동력 제공으로 변질된 대학생 현장실습에 대해 연속 보도해 드리고 있는데요.
오늘은 학생들의 피해 신고나 권리 구제에는 무관심하고, 실습생 늘리는 데만 혈안이 된 대학 측의 행태를 고발합니다.
이형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CG
"욕이 난무하고 일은 너무 힘들었다."
"학생은 기계가 아니다."
올해 초 가전 부품 공장에 현장 실습을 나간 광주의 한 대학생이 학교에 제출한 소감문입니다.//
업체로부터 모욕적인 대우를 받았다고 담당 교수와 대학측에 문제를 제기했지만 돌아온 대답은 참으라는 말 뿐이었습니다.
▶ 싱크 : 현장실습 대학생 A
- "학교는 너무 기다리라는 말로만 일축했고 교수는 이것도 유용한 거니까 참아라 이게 다 너희한테 도움이 될 거다 이런 말로.."
일을 하다 손등이 10cm가량 찢어지는 상처를 입은 학생도 있습니다.
대학에서 단체로 현장실습생의 상해보험을 들어놨지만, 다친 학생은 자신이 보험에 가입됐다는 사실조차 몰랐습니다.
▶ 싱크 : 현장실습 대학생 B
- "(치료비는?)아니요 안 받았어요 요구도 안했죠 어 다쳤네? 약 발라.. 이 정도로 끝나는 상황이라."
학교 측이 현장 실습생 피해 구제와 업체 횡포 방지에 관심을 두지 않는 것은 대학 평가와 재정 지원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현재 교육부는 현장 실습생 수로만 대학을 평가해 재정 지원 규모를 결정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이정미 / 정의당 국회의원
- "운영 규정을 지키지 않은 사업장에 학생을 보내는 학교에 경우, 이럴 경우에는 학교에 패널티를 주는, 그래서 학교가 관리감독을 더 철저하게 만드는,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게 필요하고요"
학교에서 받았던 수업을 산업 현장에서 다시 배우게 한다는 취지로 시작된 현장실습.
실습생 수를 늘려 재정 지원금을 받는 데 혈안이 된 대학 앞에서 이런 취지는 무색해 진지 오랩니다.
kbc 이형길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