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韓 성장률 전망 2%→1%.."관세뿐 아니라 정치 불확실도 고려"

    작성 : 2025-04-24 10:49:56
    ▲ 라훌 아난드 IMF 한국 미션단장 [연합뉴스]

    국제통화기금(IMF)이 최근 한국 성장률 전망을 절반으로 크게 낮춘 데는 미국 관세 부과와 국내 정치 혼란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라훌 아난드 IMF 한국 미션단장은 현지시각 23일 IMF의 한국 성장률 전망 수정에 대한 기자단 질문에 "관세 조치 영향뿐 아니라 지난해 말 이후 정치 상황 변화도 함께 고려한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IMF는 지난 22일 발표한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에서 한국의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2.0%에서 1.0%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국내외 주요 기관의 전망치 중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IMF는 당시 조정과 관련한 설명을 담지 않았던 터라 이번 답변이 첫 공식 설명입니다.

    아난드 단장은 먼저 "1월 수정 전망에서 종전 전망을 유지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IMF는 매년 4월과 10월에 전체 회원국의 경제전망을, 1월과 7월에는 주요 30개국을 상대로 한 수정 전망을 발표합니다.

    IMF는 지난해 10월 한국 성장률을 2.0%로 전망했고, 지난 1월에도 이 전망치를 유지했습니다.

    아난드 단장은 "1월 전망 당시에도 정치적 상황 변화에 따른 하방 리스크 확대는 인지하고 있었다"며 "다만 이러한 불확실성 확대가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자료 부족으로 반영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비상계엄과 탄핵으로 이어지는 정치적 혼란이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리스크'는 알고 있었지만, 당시에는 이를 확인할 충분한 데이터가 없어 성장률 전망에 반영하지 못했다는 의미입니다.

    반면 최근 전망에는 소비 부진과 투자 위축 등 실제 데이터로 나타난 정치적 혼란의 영향들이 모두 반영됐습니다.

    여기에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 조치 효과까지 더해지면서 성장률 전망치의 낙폭이 커졌다는 게 IMF 측의 설명입니다.

    김성욱 IMF 이사 또한 "이번 성장률 전망 하향은 사실상 두 번 조정해야 할 것을 한 번에 한 것"이라며 "작년 10월 이후 국내 정치 상황 변화와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치 영향이 합쳐져 나온 수치"라고 설명했습니다.

    내년 한국 성장률 전망치가 2.1%에서 1.4%로 하향 조정된 것과 관련해서는 "관세 부과의 영향이 이어지는 가운데, 불확실성 확대로 인한 소비·투자 위축 등 상황을 고려한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