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문재인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지방분권 실현이 속도를 내면서 광양만권 도시통합 논의가
또 다시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각 도시의 이해관계가 여전히 통합 추진의
가장 큰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박승현 기잡니다.
【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여수에서 열린
지방자치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지방분권 공화국을 국정목표로 삼고
지방분권 개헌을 추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 싱크 : .
- "강력한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 정책으로 더 강한 대한민국을 만들어가겠습니다. "
정부가 연방제 수준의 권한과 자율을 주는
구체적인 로드맵까지 제시하면서
그동안 지지부진하던 여수,순천,광양 3개시
통합 논의도 다시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광양만권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선
지역의 자원과 잠재력을
광역적으로 공유하고
각종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해야 한단 겁니다.
인구 70만 명의 3개 시가 통합하면 2030년까지
최대 14조 원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창출될 것이란 용역 연구 결과도 발표됐습니다.
철강과 화학이 주력인
3개 시는 이런 경제적 이익을 고려해
통합의 필요성에 모두 공감하고 있습니다.
남은 문제는 서로 엇갈리는 이해관계를 어떻게 풀어내느냐입니다.
▶ 인터뷰 : 이정록 / 전남대 지리학과 교수
- "느슨한 형태의 도시연합을 지양할 필요가 있고요 도시연합을 통해서 만들어진 거버넌스로 장기적인 도시통합을 이뤄야 한다고 봅니다. "
여러차례 무산된 광양만권 도시통합 문제가
새 정부의 정책 기조와 맞물리면서 다시 추진될 것인지 주목됩니다.
kbc 박승현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