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파킨슨병, 약물 치료 시대 열리나..GIST, 체내 투과율 제고 기술 개발

    작성 : 2023-10-17 11:27:02

    국내 연구진이 신경계 퇴행성 질환 치료제의 체내 투과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나노운반체 기술을 개발해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화학과 이강택 교수팀은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데 란짓(Ranjit De) 연구부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약물 전달 시스템과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 퇴행성 신경 질환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나노 입자 기반 치료제 모델을 연구한 끝에 이 같은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최근 신경계 퇴행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약물이 개발되고 있지만 '혈액-뇌 장벽(Blood-Brain Barrier, BBB)'을 투과해 중추신경계에 약물 효과를 전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혈액-뇌 장벽은 높은 선택적 투과성을 가진 생리적 막을 갖고 있어 신경독성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이 중추신경계(CNS)로 쉽게 투과될 수 없도록 차단함과 동시에 다양한 치료용 약물 분자 또한 중추신경계로 들어가는 것을 제한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치료용 약물을 보호하고 혈액-뇌 장벽으로 운반 및 투과를 촉진할 수 있는 새로운 고분자 나노운반체를 설계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뤄져 왔습니다.

    연구팀은 고분자 나노운반체의 크기, 모양, 표면 전하 등 세 가지 중요한 요소가 혈액-뇌 장벽 투과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표적 전달을 달성하기 위해 나노입자 표면을 변형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리간드의 역할을 평가했습니다.

    그 결과, 효과적인 혈액-뇌 장벽 투과에 적합한 나노입자의 크기는 50~150㎚ 범위, 표면 전하는 -1~-45㎷ 범위이며, 막대형 나노운반체는 유체 흐름에 있을 때 동일한 부피의 구형 나노운반체에 비해 더 높은 혈액-뇌 장벽 투과율을 보이는 것으로 관찰됐습니다.

    또 항체, 압타머, 펩타이드 등과 같은 물질을 사용하면 고분자 나노운반체의 표면 변형을 통해 혈액-뇌 장벽을 구성하는 내피세포를 표적으로 하기 때문에 약물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이강택 교수는 "이번 연구는 신경계 퇴행성 질환의 약물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뇌 내 투과 효율을 높여 해당 질병의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다"며 "잠재적인 염증 예방 및 임상 적용을 위해 나노전달체의 안전성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GIST 이강택 교수(교신저자)와 포항공과대학의 Ranjit De 박사(교신저자), GIST 송요한 박사(주저자)가 공동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결과는 바이오 테크놀로지 분야의 저명한 국제학술지 'Advances in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에 2023년 9월 26일 온라인으로 게재됐습니다.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퇴행성질환 #GIST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