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도 고용도 '저조'..지방산단 애물단지 전락

    작성 : 2018-03-26 17:49:53

    【 앵커멘트 】
    산업 단지 미분양을 해소를 위해 기업활동을 할 생각도 없는 업체에게 보조금까지 줘가며 지자체가 부지를 떠넘기고 있는 실태 보도해드렸는데요.

    지역 경제의 유일한 희망이라던 산업단지가 어쩌다 이 지경까지 이르렀을까요?

    탐사보도팀 이형길 기자가 분석해드립니다.

    【 기자 】
    지난 2013년 4월 착공한 목포대양산단.

    착공 당시 목포시는 산단이 조성되면 5천여명의 고용 창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말 기준 대양산단에 고용된 인원은 단 58명입니다.

    장흥바이오식품산단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조성 이후 고용 유발 인구가 12만명에 이를 것이라는 당초 목표가 무색하게 현재 고용인원 256명이 전붑니다.

    2010년 조성을 계획 할 당시 51개 업체가 입주 의사를 밝혔다고 했던 강진산단은 분양 4년 째인 지금도 입주 업체가 3곳에 불과합니다.

    엉터리 타당성 조사와 수요 예측으로 효과는 부풀리고 미분양과 재정 부담 우려는
    숨겼다는 얘깁니다 .

    ▶ 인터뷰 : 노경수 / 광주대 교수
    - "산단을 지정할 목적으로 내부에서 움직이는 것, 광주에서 전남으로 전남에서 광주로 이 수요를 부풀려서 산업단지를 지정해놓은 거예요."

    지자체의 장밋빛 분석과는 다르게 민간 분야 참여는 저조했습니다.

    결국 미분양 부지를 시ㆍ군 재정으로 모두 사들이겠다는 조건을 걸어 산단 조성에 나설 건설사와 금융권을 끌어들였습니다.

    ▶ 싱크 : 일반산단 시행사 관계자
    - "분양이 안되면 자금 리스크가 와버리기 때문에, 그 리스크를 (지자체가) 안겠다고 한 거였거든요 취지는. 걱정하지 마라, 해라. 시작할 때"

    산단의 미분양 문제가 지방 재정의 시한폭탄으로 다가오고 있는 상황.

    결국 지자체들은 기업 활동 의지도 없는 업체들에게까지 혈세 보조금을 주며 산단 부지를 받아달라고 읍소하는 지경에 이르게 된 겁니다 .

    kbc 이형길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