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최근 두 달 새 전남 여수와 광양 등 주요 산단에서 모두 6명의 노동자가 숨지는 등 일하다 숨지는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정부가 '면허 취소'까지 내걸며 칼을 빼 들자 업계도 대책 마련에 나섰는데, 인재를 끊는 시발점이 될지 아니면 또다시 구호에 그칠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정의진 기자입니다.
【 기자 】
수년간 남해화학 여수공장 사내 하청 노동자로 근무해 왔던 43살 A씨.
지난해 말 정규직으로 전환된 이후 '드디어 아버지에게 용돈을 드릴 수 있겠다'며 기뻐했는데, 1년도 채 되지 않아 현장에서 숨졌습니다.
▶ 인터뷰 : 유족
- "그럴 리 없다, 아침에 출근한 애가...1시 조금 넘었는데 아들이 죽었다고 하는데. 혼자서...이제 좀 '아빠, 좀 월급 올라서 괜찮고 용돈도 준다'고"
A씨가 공장에서 심정지 상태로 발견된 건 지난달 29일.
28일부터 이틀간 휴가를 낸 상태였지만, 불과 하루 전 대근자를 독촉하는 사측 요구에 휴가를 반납하고 근무에 나섰습니다.
빈소를 차린 지 열흘이 흘렀지만 장례 절차는 아직 밟지도 못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유족
- "부검의가 확실치는 않은데 장기에 이상 있는 데가 아무 데도 없다고 했어요. 그런 걸 종합해 볼 때 자기도 감전사일 가능성이 크다고...휴가자를 불러다가 지금 죽인 거 아니냐, 억울하죠."
일주일 전인 지난달 21일엔 순천 일반산단의 한 레미콘 공장에서 노동자 3명이 가스 질식으로 숨졌고, 같은 달 8일엔 영암 대불산단에서 지붕 수리를 하던 60대 노동자가 추락해 목숨을 잃었습니다.
7월엔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배관 해체 작업을 하던 노동자들이 추락해 1명이 숨지고 2명이 다쳤습니다.
두 달 새 전남 지역 산단에서만 무려 8명이 다치거나 숨진 겁니다.
이재명 정부가 '반복되는 산재는 미필적 고의'라며 전방위 압박에 나선 상황.
가장 먼저 대책 마련에 나선 건 이 대통령이 '면허 취소'까지 직접 언급한 포스코입니다.
광양제철소에서 안전 관련 자문위원회 출범식을 여는 등 안전에 기반을 둔 전략 사업을 꾸려나가겠다는 방침입니다.
▶ 스탠딩 : 정의진
- "일하다 죽는 인재를 끊어내는 시발점이 될지, 아니면 또다시 구호에 그칠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KBC 정의진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