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 달 초 '황금연휴'를 앞두고 여행업계가 들썩이고 있다.
5월 첫째 주말인 3∼4일부터 어린이날·석가탄신일(5일), 어린이날 대체휴일(6일)이 이어지면서 나흘간의 연휴가 생깁니다.
직장인은 2일 하루만 휴가를 내면 근로자의날(1일)부터 엿새(6일)를 쉴 수 있습니다.
모처럼 맞는 일주일 안팎의 연휴에 해외여행을 떠나려는 여행객이 늘어나면서 여행사들도 대목을 잡기 위한 마케팅에 분주합니다.
하나투어는 오는 30일부터 다음 달 4일까지 출발하는 패키지 해외여행 예약 인원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39% 늘었다고 27일 밝혔습니다.
지역별 예약 비중을 보면 동남아가 37%로 가장 많았고, 중국 26%, 일본 22% 등 근거리 여행이 많았습니다.
하나투어 관계자는 "휴가를 내지 않고 연이어 쉴 수 있는 연휴 기간은 나흘이어서 단거리 예약 비중이 평소보다 높아졌다"고 설명했습니다.
모두투어는 같은 기간 출발하는 패키지 해외여행 예약 인원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42% 증가했다고 전했습니다.
지역별 비중은 근거리인 동남아가 42%로 가장 높았고 중국 20%, 일본 20%, 유럽 10% 수준이었습니다.
노랑풍선을 통해 출발하는 패키지 해외여행 예약 인원도 30%가량 늘었습니다.
긴 연휴에 여행사들은 특수 기대감이 크지만, 소상공인들은 소비가 살아날 기미가 없다며 낙심하는 분위기입니다.
내수 경기 침체 장기화로 소비심리가 얼어붙은 상황에서, 연휴마저 길어 장사가 더 위축될까 걱정인 겁니다.
국내에 머물며 백화점과 아웃렛 등을 찾는 고객도 경기 부진으로 지갑을 여는 데 인색할 것이라는 염려도 있습니다.
정부도 연휴가 길어지더라도 내수진작 효과가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근로자의 날과 토요일 사이에 낀 5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실제 올해 설 연휴에도 중간에 낀 월요일인 1월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돼 엿새간의 황금연휴가 생기자 내수 진작보다 해외 출국자 수가 늘어나는 역효과가 생겼습니다.
지난 1월 해외로 나간 우리 국민은 297만 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7.3% 증가했는데, 2019년 같은 달보다 2.1% 많은 수치입니다.
특히 5월 연휴 기간 광화문 등 직장인을 상대로 한 오피스 상권의 음식점과 카페 등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의 한숨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연휴 내내 직장인들이 출근하지 않아 매출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보는 겁니다.
강남 역삼역 인근 사무실이 몰려있는 골목에 있는 카페를 운영하는 주인은 "근로자의날이 목요일이라 다음날인 금요일에 회사 전체가 쉬는 곳들이 많다고 들었다"며 "문을 열긴 열지만, 대체공휴일(6일)까지 거의 개점휴업이나 마찬가지"라고 걱정했습니다.
광화문 복합상가에 있는 한 중국집 종업원은 "대로변에 있는 음식점들은 휴일에도 유동 인구가 좀 있지만 지하나 2·3층, 구석에 있는 음식점들은 타격이 있을 수밖에 없다"며 "황금 휴일이 그다지 반갑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자영업자들은 황금연휴에 상대적 박탈감을 느낀다고 토로합니다.
류필선 소상공인연합회 전문위원은 "소상공인들에게는 연휴 효과가 생각보다 크지 않은데 도심 상인들은 공동화 현상으로 하루 매출이 날아가는 문제까지 생긴다"며 "임시공휴일 지정이 내수진작으로 이어지려면 소비 쿠폰 등 소비 활성화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백화점과 아웃렛도 황금연휴에 고객을 유인하기 위해 즐길 거리를 풍성하게 준비 중이지만 '연휴 특수'가 예전만 못하다는 분위기입니다.
통계청의 속보성 지표인 나우캐스트에 따르면 올해 설 연휴 전후인 1월 24∼31일 국내 신용카드 사용액은 전주 대비로 34% 감소했습니다.
4주 전과 비교해서는 8% 줄었는데, 연휴에 오히려 가계 지출이 감소한 겁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과거에는 '특수'라고 부를 만큼 매출이 뛰었는데 최근에는 연휴에 주말만큼 매출이 확 늘지는 않는다"며 "대형쇼핑몰에 고객이 몰려도 식음료 매장만 이용하고 근처 나들이를 가는 경우가 많아 실제 매출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