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광주의 기초의회 의원들이 자신의 얼굴 사진을 불법 합성한 협박성 전자우편을 받았다는 소식, 지난해 11월에 전해드렸는데요.
광양과 순천 등 전남의 기초의원들도 최근 비슷한 피해를 받은 사실이 드러나면서 딥페이크 범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박성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지난 8일, 광양시의회 의원들에게 한 통의 이메일이 수신됐습니다.
메일에는 자신들이 의원들의 성 비위 영상을 가지고 있으며, 가상 화폐로 약 1억 5천만 원을 보내지 않으면 유출하겠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첨부된 음란 영상 속 남성의 얼굴에는 의원들의 얼굴이 불법 합성돼 있었습니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사진 합성 기술, 이른바 '딥페이크' 협박 범죄입니다.
▶ 인터뷰 : 정회기 / 광양시의원
- "특히 얼굴 노출이 되는 사진들은 게재하는 걸 좀 자제해야 되겠다 이런 생각을 먼저 했고요. 또 주위에도 이런 이야기들을 좀 해야 되겠다. 이런 사례가 있어서. 그래야 일반인들도 피해를 줄일 수가 있기 때문에.."
앞서 지난해 11월에는 광주 5개 자치구 의원 중 9명이 불법 합성물로 협박을 받는 등, 기초의원들을 대상으로 한 딥페이크 범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상대가 공인이라서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는 점, 합성을 위한 얼굴 사진이나 연락처 등을 구하기 쉽다는 점을 노린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이 같은 피해가 전국적으로 이어지고 있지만, 범행이 대부분 해외에서 이뤄지고 있다 보니 수사가 쉽지 않다는 점입니다.
▶ 인터뷰(☎) : 이세훈 / 전남경찰청 사이버수사대장
- "협박하는 내용의 이메일이 오는 경우에는 일단 첨부파일을 절대 열람하지 않는 게 중요하고요. 일단 이런 사례가 있는 경우 경찰에 최우선적으로 신고를 하셔야지 피해 예방이 될 것 같습니다."
시민들에게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 자신의 개인정보 등을 공개하고 있는 기초의원들의 노력이 되려 협박 범죄의 타깃이 되고 있는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KBC 박성호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