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날짜선택
    • 2부리그 강등 광주 FC....미래 '자갈밭'
      【 앵커멘트 】 시즌 내내 하위권을 맴돌던 광주FC가 결국 내년 2부리그로 강등되고 말았습니다. 광주시에서 받는 지원금 60억원도 줄어들고 기업 후원금 확보도 더 어려워질 것이란 전망이어서 광주FC가 기로에 선 형국입니다. 보도에 강동일 기잡니다. 【 기자 】 지난 시즌을 8위로 마친 광주FC의 2부리그 강등은 예견된 결괍니다. 지난 시즌 득점왕이자 MVP인 정조국을 제대로 대우해줄 수 없어 이적시켰고, 핵심 수비수 이찬동도 제주로 보냈기 때문입니다 .
      2017-11-13
    • 2부리그 강등 광주 FC....미래 '자갈밭'
      【 앵커멘트 】 시즌 내내 하위권을 맴돌던 광주FC가 결국 내년 2부리그로 강등되고 말았습니다. 광주시에서 받는 지원금 60억원도 줄어들고 기업 후원금 확보도 더 어려워질 것이란 전망이어서 광주FC가 기로에 선 형국입니다. 보도에 강동일 기잡니다. 【 기자 】 지난 시즌을 8위로 마친 광주FC의 2부리그 강등은 예견된 결괍니다. 지난 시즌 득점왕이자 MVP인 정조국을 제대로 대우해줄 수 없어 이적시켰고, 핵심 수비수 이찬동도 제주로 보냈기 때문입니다 .
      2017-11-13
    • [탐사]경기미로 둔갑 판매..전남 친환경 쌀의 수난
      【 앵커멘트 】 전남에서 생산된 친환경쌀이 다른 지역으로 팔려가 경기미, 충청미로 둔갑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시는지요? 매년 천억에 가까운 혈세를 친환경 쌀 보조금으로 쏟아붓고 있는데요, 정작 그 돈 들여 생산한 친환경쌀은 전남이라는 산지 표시를 감춘채 판매되고 있습니다. 탐사 리포트 뉴스인, 박성호, 이형길 기자가 집중 취재했습니다. 【 기자 】 해남에서 만8천평에 유기농 쌀 농사를 짓고 있는 김 모 씨. 밀키퀸과 고시히카리 등 손이 많이 가는 최고급 품종을 직
      2017-11-13
    • [탐사]경기미로 둔갑 판매..전남 친환경 쌀의 수난
      【 앵커멘트 】 전남에서 생산된 친환경쌀이 다른 지역으로 팔려가 경기미, 충청미로 둔갑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시는지요? 매년 천억에 가까운 혈세를 친환경 쌀 보조금으로 쏟아붓고 있는데요, 정작 그 돈 들여 생산한 친환경쌀은 전남이라는 산지 표시를 감춘채 판매되고 있습니다. 탐사 리포트 뉴스인, 박성호, 이형길 기자가 집중 취재했습니다. 【 기자 】 해남에서 만8천평에 유기농 쌀 농사를 짓고 있는 김 모 씨. 밀키퀸과 고시히카리 등 손이 많이 가는 최고급 품종을 직
      2017-11-13
    • <11/13(월) 모닝730 타이틀 + 주요뉴스>
      1.(내년 교육감 선거 앞두고 (진보진영 잰걸음) 내년 6월 교육감 선거를 앞두고 광주전남지역 진보단체들이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습니다.교육감을 잇따라 탄생시켰던 진보 진영이 어느 정도 영향력을 행사할지 관심입니다. 2.(경기미 '둔갑'...전남 친환경 쌀 '헐값에') 판로를 찾지 못한 전남산 친환경 쌀이 헐값에 다른 지역으로 넘겨져 경기미나 충청미로 둔갑돼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해마다 천억에 가까운 친환경 쌀 보조금이 낭비되고 있는 셈입니다. 3.(재개발*재건축'지지부진')...갈수록 '막막'
      2017-11-12
    • 전남도, 주요 관광지 50곳 안전 컨설팅 추진
      '가고 싶은 섬' 등 전남 지역 주요 관광지 50곳에 대해 안전진단이 실시됩니다. 전라남도는 '가고 싶은 섬'과 '숲 속의 전남', '경관숲' 등 주요 관광지 50곳에 대해 다음달 15일까지 안전컨설팅을 진행해 안전 위험요인을 미리 없애기로 했습니다 . 또 오래된 소규모 교량 가운데 보수와 보강이 필요한 여수 국동교 등 13곳을 재난위험시설에 준해 관리하기로 했습니다.
      2017-11-12
    • 전남도, 주요 관광지 50곳 안전 컨설팅 추진
      '가고 싶은 섬' 등 전남 지역 주요 관광지 50곳에 대해 안전진단이 실시됩니다. 전라남도는 '가고 싶은 섬'과 '숲 속의 전남', '경관숲' 등 주요 관광지 50곳에 대해 다음달 15일까지 안전컨설팅을 진행해 안전 위험요인을 미리 없애기로 했습니다 . 또 오래된 소규모 교량 가운데 보수와 보강이 필요한 여수 국동교 등 13곳을 재난위험시설에 준해 관리하기로 했습니다.
      2017-11-12
    • 전남 국제 수묵 프레비엔날레 막 내려
      전남 국제 수묵 프레비엔날레가 막을 내렸습니다. 내년 정식 비엔날레를 앞두고 사전시연 행사로 마련된 이번 프레비엔날레는 '수묵의 여명-빛은 동방으로부터'를 주제로 지난달 13부터 목포 문화예술회관 등 3개 권역에서 11개국 작가 232명의 작품 323점을 선보였습니다. 프레비엔날레는 다양한 시도를 통해 문화 콘텐츠로서 수묵의 가치를 확인했지만, 한 달 동안 관람객이 6만 7천여 명에 그쳐 흥행엔 성공하지 못했다는 평갑니다. .
      2017-11-12
    • 세월호 미수습자 가족들, 목포신항 떠날 듯
      세월호미수습자 가족들이 목포신항을 떠납니다. 세월호가 육상으로 올라온 지난 4월부터 선체수색 현장인 목포신항에서 지내온 미수습자 가족들은 목포신항 컨테이너동을 떠나기로 의견을 모으고, 내일(14일) 공식 입장을 밝힙니다. 또 미수습자들이 해상에서 유실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오는 19일 목포신항에서 합동위령제를 지낸 뒤 경기도 안산의 한 장례식장에서 3일장을 치르기로 잠정 합의했습니다.
      2017-11-12
    • 세월호 미수습자 가족들, 목포신항 떠날 듯
      세월호미수습자 가족들이 목포신항을 떠납니다. 세월호가 육상으로 올라온 지난 4월부터 선체수색 현장인 목포신항에서 지내온 미수습자 가족들은 목포신항 컨테이너동을 떠나기로 의견을 모으고, 내일(14일) 공식 입장을 밝힙니다. 또 미수습자들이 해상에서 유실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오는 19일 목포신항에서 합동위령제를 지낸 뒤 경기도 안산의 한 장례식장에서 3일장을 치르기로 잠정 합의했습니다.
      2017-11-12
    • 지하철 무임승차 손실 해결 위한 토론회 개최
      지하철 무임승차 손실비용을 해결하기 위한 토론회가 내일(14일) 국회에서 개최됩니다. 국회의원과 시민단체, 지자체 등이 공동 주최하는 토론회에서는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지하철 무임승차 손실비용'에 대해 정부와 전문가뿐 아니라 시민과 수혜자 단체 등이 모두 참여해 해법을 모색할 예정입니다. 지하철 무임승차 제도는 1984년 시행된 이후 고령화와 유공자 보훈정책 확대 등으로 수혜자가 급격히 늘면서 지난해 광주지하철에서만 76억 원의 운임손실이 발생했습니다.
      2017-11-12
    • 광주시, 하천공사 설계변경 반복…공사비 수억 원 증액
      광주시가 하천공사 설계변경을 반복하면서 공사비가 크게 늘어났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광주시의회 주경님 의원이 내놓은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월 준공된 장등천 개수공사 사업비가 최초 공사비보다 57%가 늘어난 43억 원이 들어가는 등 최근 5년 동안 공사를 마친 3곳이 평균 8번 설계변경을 거치며 공사비가 43% 늘어났습니다. 다음달 준공 예정인 송산천 개수공사와 내년 11월 준공 예정인 서창천 고향의 강 조성 사업도 지금까지 각각 14%와 16% 증액됐습니다.
      2017-11-12
    • 광주시, 하천공사 설계변경 반복…공사비 수억 원 증액
      광주시가 하천공사 설계변경을 반복하면서 공사비가 크게 늘어났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광주시의회 주경님 의원이 내놓은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월 준공된 장등천 개수공사 사업비가 최초 공사비보다 57%가 늘어난 43억 원이 들어가는 등 최근 5년 동안 공사를 마친 3곳이 평균 8번 설계변경을 거치며 공사비가 43% 늘어났습니다. 다음달 준공 예정인 송산천 개수공사와 내년 11월 준공 예정인 서창천 고향의 강 조성 사업도 지금까지 각각 14%와 16% 증액됐습니다.
      2017-11-12
    • 재개발*재건축 지연 장기화..갈수록 '막막'
      【 앵커멘트 】 광주에서 추진중인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대부분 지지부진 제자리 걸음입니다. 대상 지역은 40 여 곳이 넘지만, 실제 공사까지 진행된 곳은 10곳에 불과합니다. 이준호 기자가 그 실태와 이유를 취재했습니다. 【 기자 】 2천5백여 세대의 아파트 단지 조성이 추진중인 광주 북구의 한 재개발지역입니다. 지난 2008년 재개발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뒤, 10년째 제자리 걸음입니다. 광주에서 재개발과 재건축을 추진하고 있는 지역은 모두 44곳.
      2017-11-12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