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방송된 KBC 라디오 <박영환의 시사1번지> 추석 특집에서 패널들은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리더십과 정부와의 당정관계를 주제로 심층 토론을 벌였습니다.
장윤선 취재편의점 기자는 "정청래 대표는 여당 대표로서 강한 개혁 의지를 내세우고 있지만, 국정 운영의 중심축으로서 조율 능력을 함께 보여줘야 한다"며 "야당 시절의 투쟁형 리더십이 이제는 협치형 리더십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진단했습니다.
최경철 매일신문 편집위원은 "정청래 대표가 '강한 추진력'을 무기로 여당의 색깔을 분명히 하는 건 긍정적이지만, 지나친 독주로 비칠 경우 대통령실과의 긴장관계가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특히 인사·예산·입법 현안을 두고 대통령실과 공개적으로 엇박자가 난다면, 국민에게 '불안한 여당' 이미지를 줄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정도원 데일리안 정치부장은 "정청래 대표는 당내 개혁 세력의 기대를 한몸에 받고 있지만, 여당 대표로서 정부 정책을 뒷받침하는 실무적 협상력도 필요하다"며 "여당의 역할은 비판이 아니라 해결"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또 "정 대표가 강성 이미지에서 벗어나 정책 중심의 실용 리더십을 보인다면 여당 내 안정 기반이 강화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김도형 한국일보 기자는 "정청래 대표는 '소신 정치인'으로 상징되지만, 이제는 국정 전반을 조율하는 여당 대표로서의 균형감각이 요구된다"며 "현 정부와의 관계 설정을 명확히 해야 당의 메시지가 일관성을 갖는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는 "만약 정부와의 관계를 지나치게 경직되게 가져간다면, 정책 추진 동력은 오히려 약화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장윤선 기자는 "정 대표가 현장 중심 정치를 강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국정 파트너로서 대통령과의 소통 채널을 열어두는 유연함이 필요하다"고 평가했습니다.
최경철 위원은 "지금의 민주당은 '강한 여당'을 표방하고 있지만, 그 강함이 설득력으로 이어지지 않으면 국민의 피로감이 쌓일 수 있다"며 "정 대표의 리더십은 결국 협치의 기술에서 평가받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날 패널들은 '정청래 대표의 리더십은 민주당의 방향성을 결정짓는 바로미터'라며 '강단과 소통, 추진과 조율을 어떻게 조화시키느냐가 향후 당정 관계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