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30일 도쿄 회동 한 달여 만에 다시 부산에서 마주 앉으면서 한일 정상의 '셔틀 외교'가 본궤도에 안착했음을 재확인했습니다.
앞서 이 대통령은 취임 첫 해외 순방이던 지난 6월 캐나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이시바 총리를 만나 셔틀 외교를 재개하기로 뜻을 모았습니다.
이어 두 달 만인 8월 23일 이 대통령이 도쿄를 찾아 정상회담을 가졌고, 다시 한 달여 만인 이날 이시바 총리가 부산을 찾아옴으로써 세 번째 회담이 열렸습니다.
공감대를 이룬 첫 만남에 이어 이 대통령의 방문, 이시바의 답방이 차례로 이뤄지며 '왕복의 순환 경로'가 완성된 셈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에서 시작된 국제무역 질서의 격변기라는 점에서도 한일 셔틀 외교의 안착은 의미가 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강한 압박을 받아 온 양국이 동병상련 속에 결속, 함께 대응책을 모색할 수 있게 됐습니다.
물론 한국과 일본은 미국 자동차 시장을 두고 경쟁하는 사이이기도 합니다.
일본은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먼저 마무리 지었고, 미국이 이를 기준 삼아 한국을 압박하는 등 양국의 이해가 미묘하게 엇갈리는 지점도 없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향후 트럼프 대통령이 또 어떤 카드로 기존 무역질서를 흔들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비슷한 처지의 한일 양국은 대응 기조를 정할 때 서로의 '참고서'가 될 수도 있습니다.
실제 이 대통령은 지난달 첫 방미에 앞서 이시바 총리를 만나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 경험 등에 대한 조언을 듣는 등 도움을 받은 바 있습니다.
안보 차원에서 한미동맹 관리가 중요한 한국 입장에서는 일본과의 관계 개선으로 한미일 협력을 추동하고 대미 협상의 지렛대를 얻게 되는 측면도 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