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광역시 소방안전본부는 '2025년 상반기 119신고' 건수가 12만 8,500건으로 집계됐다고 27일 밝혔습니다.
이는 하루 평균 710건으로, 약 2분에 1건꼴로 신고가 접수됐으며, 전년 같은 기간 대비 4.4% 감소한 수치입니다.
출동 신고를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화재 신고 4,407건(4.7% 증가) △구조 신고 7,653건(3.9% 감소) △구급 신고 3만 4,384건(6.3% 감소) △기타 출동신고 4,208건(35.2% 증가)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화재와 기타 신고 증가는 봄철 건조기와 여름철 폭염·호우특보 등 기상 요인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습니다.
반대로 구급신고가 감소한 것은 의료기관 접근성이 향상되고, 코로나19 이후 비긴급 환자의 구급차 이용 자제 문화가 정착된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비출동 신고 현황으로는 △의료상담 2만 2,891건(1.7% 증가) △민원안내 2만 634건(0.3% 증가) △기관 이첩 1,103건(10.6% 증가) 등으로 나타나 전년 대비 증가했습니다.
이 같은 증가는 시민들이 119를 단순히 긴급차량 출동 요청 수단으로만 인식하던 것에서 벗어나, 병원·약국 안내, 의료상담, 의료처치 지도 등 응급상황에서 신속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구급상황관리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무응답이 2만 1,738건으로 17.9% 대폭 감소하고, 오접속도 8,291건으로 14% 줄어든 점입니다.
광주소방안전본부가 지난 2년간 추진해 온 '비긴급신고 줄이기' 홍보 캠페인의 성과로 평가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