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폭등'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교역국에 90일간 상호 관세를 유예하기로 함에 따라 '묻지 마 매수' 흐름이 나타났습니다.
9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장 마감 후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962.86포인트(7.87%) 튀어 오른 40,608.45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74.13포인트(9.52%) 폭등한 5,456.90, 나스닥 종합지수는 1,857.06포인트(12.16%) 폭등한 17,124.97에 장을 마쳤습니다.
트럼프는 이날 오후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교역국을 대상으로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기로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기본 관세 10%는 유지하되 상호 관세는 유예하는 것으로 국가별 적정 관세를 협상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밝혔습니다.
대신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선 관세를 125%로 올리며 압박 강도를 더욱 높였습니다.
중국에 대한 관세를 더 높인 만큼 중국이 재보복할 가능성은 여전합니다.
세계 1위와 2위 경제 대국인 두 나라의 무역전쟁이 격해지면 글로벌 경기침체 가능성도 더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증시 투자자들은 일단 상호 관세가 유예된 점에 환호했습니다.
미·중 무역전쟁 우려보단 상호 관세 협상으로 글로벌 공급망이 붕괴하진 않을 것이라는 안도감이 위험선호 심리를 자극했습니다.
무엇보다 트럼프가 시장의 반응을 무시한 채 자신의 정책을 밀어붙이긴 어려울 것이라는 점이 확인됐습니다.
나스닥지수는 2001년 1월 이후 24년 만에 가장 크게 올랐고, 역대 두 번째로 큰 일일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다우지수는 2020년 3월 이후 하루 최대, S&P500 지수는 2008년 이후 하루 최대의 상승 기록을 각각 수립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