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광역시 송암산단은 1970~80년대 '소비도시' 오명을 떨쳐내고 '생산도시'로 탈바꿈하기 위한 지역 상공인들의 집념과 땀으로 이룩된 산업단지입니다.
당시 광주·전남은 박정희 정부의 불균형성장 전략으로 인해 산업화에서 소외돼 경제적인 낙후가 심각했습니다.
특히 생산기반이 취약한 가운데 소비 부문은 날로 팽창하는 기형적인 구조 속에서 '대리점 경제'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이었습니다.
게다가 소규모 공장들은 대부분 도심 주거지역이나 상업지역 등에 산재해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 공해 발생 요인으로 지목되었을 뿐 아니라 복지후생 시설이나 시설확장을 할 수 없는 형편이었습니다.
◇ 산업화에서 소외돼 경제적인 낙후또한 공장을 이설 혹은 신설하고자 하여도 이를 수용할 만한 마땅한 부지가 없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상공인들이 주축이 되어 고용기회를 창출하고 주민소득을 늘리기 위한 '광주권 생산도시화 운동'에 나섰습니다.
광주상공회의소는 1978년 '광주권 생산도시화 촉진의 해'로 설정하고 공업단지 조성과 대단위 산업시설 유치운동을 대대적으로 전개하였습니다.
그리고 공업지역으로 지정돼 있었으나 논밭과 임야로 돼 있던 남구 송암동 13만평과 북구 본촌동 24만평 개발을 광주시에 적극 건의했습니다.
신태호 광주상의 회장 등 상공인들은 건설부장관에게 본촌동과 송암동지구를 지방공업개발법에 의한 개발장려지구로 지정해줄 것을 건의해 확약을 받고 절차를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공단 조성에 따른 건설비용은 입주업체가 부담하고 광주시는 위.수탁 협약에 의해 전체 공사를 대행하기로 했습니다.
◇광주상의, 민간자본 130억 원 유치광주상공회의소는 송암.본촌 산단 조성을 위해 민간자본 130억 원을 유치했습니다.
당시 업체 수요조사 결과 송암동 지구에는 30개 업체가 입주를 희망했으며, 1979년 착공해 1983년 준공됐습니다.
업종은 넓은 부지를 필요로 하는 자동차정비업체가 가장 많았으며 연탄, 가스, 기계, 화학업종이 포함됐습니다.
특히 남광주역 인근에 자리하고 있던 남선, 대흥, 삼보, 일광 등 연탄공장들이 대거 송암공단에 둥지를 틀었습니다.
이처럼 상공인들이 주도적으로 대규모 공업단지를 조성한 사례는 전국에서 광주가 유일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를 계기로 광주는 50만평 규모 하남산단 조성을 비롯 이후 정부가 추진하는 광주권개발 2단계 사업계획 수립에 크게 기여해 '광주권 생산도시화'의 초석을 마련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