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석유화학업계의 침체에 이어 탄소중립이라는 시대적 과제까지 맞물리면서 노동자들이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얼어붙은 고용시장은 지역경제 위기까지 고조시키고 있는데요.
준비도 대책도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입니다.
정의진 기자입니다.
【 기자 】
올해 3월 기준 여수산단 플랜트건설 노동자 수는 6,900여 명.
지난해 같은 기간 9,339명에서 30% 가량 줄었습니다.
석유화학업계 불황에 따른 플랜트 발주금액이 급감한 탓입니다.
지난해 여수산단 신·증설이나 정기 보수 등을 위한 플랜트 발주금액은 월평균 1,834억 원이었는데, 올해 상반기엔 4분의 1 수준인 396억 원으로 쪼그라들었습니다.
노동자들의 체감도는 더 큽니다.
플랜트건설 노조 여수지부가 지난 4월 진행한 근로실태를 보면, 최근 6개월 동안 일자리를 얻지 못한 조합원은 85.8%나 됐습니다.
1년 새 여수시 지방소득세는 49%, 법인 지방소득세는 67%씩 빠졌습니다.
▶ 싱크 : 문길주 / 전남노동권익센터장
- "플랜트건설 노동자들, 화물운송 종사자들은 이제는 너무나 피부적으로 느끼고 있습니다. 여수산단의 4천 개가 넘는 협력업체가 부도가 날 수도 있고 굉장히 위태로워질 수 있습니다."
업황도 좋지 않은데, 시대적 과제인 탄소중립으로의 산업 전환도 맞물렸습니다.
특히 입주기업의 45%가 석유화학기업인 여수산단은 '기후 리스크'가 큰 곳으로 꼽힙니다.
이런 이유로 정부는 석유화학산업의 핵심 공정인 나프타 분해시설, 즉 NCC 감축을 포함한 구조조정을 전제로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따라오는 고용과 지역경제의 연쇄적 위기는 '논외'가 됐고, '사회안전망 마련' 등의 내용을 담은 탄소중립기본법은 추상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 싱크 : 김현우 / 탈성장과 대안연구소장
- "지역경제와 노동자는 레고 블록처럼 여기 떼었다가 저기로 쉽게 옮겨갈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거죠. 노조의 힘만으로도 안 되고 행정의 힘만으로도 안 되고 기업의 힘만으로도 안 됩니다."
이미 현실이 된 불황과 탄소중립의 시대.
일자리가 사라지고 지역경제가 해체되는 현장의 목소리는 그저 공허한 메아리로 돌아오고 있습니다.
KBC 정의진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