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광역시가 차별화된 사업 발굴로 '인공지능 대표도시'의 위상을 더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광주연구원은 1일 발간한 광주정책포커스 '2025 정부 인공지능 활용사업 연계 광주 추진과제'를 통해 정부의 인공지능 활용 추진방향을 고려한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연구진은 19개 부처의 올해 업무보고를 분석해 정부가 인공지능을 활용한 실물경제 연계 강화, 전 산업·공공분야와 민생경제의 AX 촉진, AI안전·신뢰·윤리 확산, 민간 참여·투자 견인 등에 역점을 두고 있다고 파악했습니다.
여기에는 AX 전략 분야(교육·농축산·헬스케어·제조) 해외 실증, 권역별 AI 선도 프로젝트, 지역 디지털 혁신 프로젝트, 광주 AX실증밸리 조성 등 광주와 관련성이 높은 사업도 포함됐습니다.
이를 토대로 연구진은 올해 광주 인공지능 활성화 10대 추진과제로 ①초격차 슈퍼AI그라운드 조성 ②탑티어 K-AI서비스 생태계 구축 ③AI라이프산업 육성 ④광주시민 AI라이프 위크 개최 ⑤글로벌 AI콘텐츠 메타허브 구축 ⑥통합돌봄 연계형 AI 헬스케어 스마트도시 시범 조성 ⑦AI 활용 마이크로 로봇 혁신 기반 강화 ⑧하이퍼로컬 AI 지원 비즈니스 리빙랩 구축 ⑨지자체, 공공기관, 주민자치 데이터 활용 플랫폼 구축 ⑩AI팹리스 스타트업 육성 특화 프로그램 운영을 제안했습니다.
연구진은 "올해는 AI인프라·기업·기술 집적화를 통한 초격차 기술개발, 실증, 상용화를 지원하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며, "초거대 AI 인프라 구축을 통해 시민 체감 AI서비스를 개발하여 포용적 AI를 선도하고 AI 일상화를 실천하는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