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 중 하나인 '삭힌 홍어'와 '미역국'이 '수산전통식품'으로 지정돼 해외로 나갈 것으로 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마른김과 전복장아찌, 소라숙회, 새우장 등의 품목도 '수산전통식품'으로 적합한지 검토 대상에 오릅니다.
17일 해양수산부 산하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은 연구용역을 통해 삭힌 홍어가 수산전통식품으로 지정되기 적합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마무리 검토 결과 문제가 없다면 삭힌 홍어는 수산전통식품 목록에 추가됩니다.
삭힌 홍어는 전남 흑산도에서 목포항이나 나주 영산포로 옮기는 과정 중에 숙성돼 탄생했습니다.
수품원은 또 '미역국'을 수산전통식품으로 지정하기 위한 표준규격을 마련하고자 관련 연구용역을 최근 발주했습니다.
이번 연구용역에서는 마른김과 전복장아찌, 소라숙회, 새우장에 대해서도 수산전통식품으로 적합한지 여부를 검토할 예정입니다.
수산전통식품은 국산 수산물을 주원료로 하고, 전통적으로 전승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조리돼 우리 고유의 맛과 향을 내는 수산 식품으로 연구와 조사를 통해 지정됩니다.
현재 수산전통식품으로 지정된 품목은 오징어와 명란, 창란 등 젓갈류 22종과 조미김, 전복죽, 꽃게장 등 44개입니다.
수산전통식품으로 지정된 식품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우선구매 대상이 되고, 정부와 지자체는 수산식품산업법에 따라 수산전통식품의 수출과 세계화를 위해 다양한 지원에 나서야 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