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광주시 내 자전거 도로의 40% 가까이가 훼손돼 제 역할을 하지 못 하고 있습니다.
자전거 도로가 오히려 자전거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전현우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자전거로 출퇴근을 하는 이영규 씨는 지난달 아찔한 경험을 했습니다.
보행자ㆍ자전거 겸용 도로를 걷고 있는 행인을 피하려다 차량에 부딪칠 뻔한 것입니다.
▶ 인터뷰 : 이영규 / 광주시 장덕동
- "그 분(행인)들을 피하다가 길 정비가 안 된 길에 펑크가 나가지고 넘어질 뻔하거나 차에 치일 뻔하거나"
파손된 자전거 도로를 피해 아예 차도로 다니는 자전거 운전자도 많습니다.
자전거 도로보다는 차도가 더 안전하게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 인터뷰 : 이상주 / 광주시 계림동
- "연결성이 많이 끊어지거든요. 노면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돌출된 블럭이라든가 파인 부분."
▶ 스탠딩 : 전현우
- "표면이 다 벗겨져 있고 2cm 넘는 턱이 있거나 장애물이 있는 등 자전거 도로가 사실상 제역할을 하지 못해 주민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습니다."
(c.g.1) 총 637km인 광주시내 자전거 도로 가운데 37%인 238km가 파손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광주시와 5개 구청이 매년 보수하고 있는 자전거 도로는 10km 정도에 그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김남균 / 광주시청 도로과 과장
- "매년 10억원 예산을 확충해서 보수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심각한 부분부터 우선적으로 할 예정입니다."
최근 3년간 (c.g.2)광주ㆍ전남에서는
2천 여건의 자전거 사고로 48명이 숨지고
2천여명이 다쳤습니다.
kbc 전현웁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