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연합(EU)이 22일(현지시간) 청정기술을 비롯한 전략 산업 부문 공공조달 시 '메이드 인 유럽'(Made in Europe·유럽산) 기준을 도입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이날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서 열린 유럽의회 본회의 연설에서 "유럽에서 생산된 청정기술 제품을 지원하는 데 다시 집중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유럽 내 공공조달 사업 규모가 유럽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14%에 달한다며 유럽 정부에 의해 통제되는 막강한 재정 수단인만큼 이 돈이 '유럽산'에 흘러가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역내 산업에 대한 외국인 신규 투자 역시 유럽의 이익에 부합해야 한다면서 "유럽 근로자를 위한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다른 지역뿐 아니라 이곳 EU에서 유럽인에게 부가가치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일부 전략적 분야에 대한 지원도 강화할 것"이라며 "유럽 내 생산을 지원하기 위한 '배터리산업 지원 정책'(Battery Booster), 자동차 산업을 위한 새로운 이니셔티브를 통해 산업계에 명확한 정치적 시그널을 발신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최근 몇 년 새 우리는 단 하나의 국가가 핵심 제품 혹은 기술의 공급을 장악했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목격했다"며 "(대외) 의존도는 언제든 압박의 수단으로 돌변할 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핵심 원자재 주요 수출국인 중국을 염두에 둔 발언입니다.
그는 "유럽 내에서,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들과 함께 더 빠르고 신뢰할 수 있는 핵심 원자재 공급이 필요하다"며 "유럽 경제안보를 보장하기 위한 추가적인 조치를 제안할 준비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