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상대로 한 납치 및 실종 사례가 잇따르면서 정부가 범정부 차원의 대응을 예고했습니다.
13일 경북경찰청에 따르면 경북 상주에 거주하던 30대 남성 A씨는 지난 8월 19일 캄보디아로 출국한 뒤 연락이 끊겼습니다.
A씨는 출국 닷새 뒤인 24일, 텔레그램 영상통화로 가족에게 "2,000만 원을 보내주면 풀려날 수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으나, 이후 연락이 다시 끊겼습니다.
경찰은 해외 범죄 조직이 A씨를 감금한 채 협박·갈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지난 8월 23일 캄보디아 한국대사관, 경찰청(본청) 국제협력관실과 외교부 영사 콜센터로 사건을 통보했습니다.
전북에서는 "캄보디아로 간 동생이 범죄에 연루된 것 같다"는 실종 신고가 접수됐습니다.
전북경찰청에 따르면 신고자는 "동생에게서 손가락이 잘린 사진이 도착했다"고 진술하며 경찰에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경찰은 캄보디아 현지 대사관과 함께 실종 신고가 접수된 A씨를 찾아 경위를 파악했으나 범죄 연루 정황은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A씨는 손가락이 다친 이유에 대해서는 "폭죽을 터뜨리다가 사고가 났다"고 다소 애매하게 말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경찰은 A씨가 바깥 활동을 하고 연락이 닿는 점 등으로 미뤄 범죄조직에 납치·감금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다만 석연치 않은 부상 이유와 가족의 요청에도 현재까지 귀국하지 않은 점 등에 대해서는 여러 가능성을 열어놓고 경위를 파악하고 있습니다.

이같이 우리 국민을 대상으로 한 범죄 가능성이 계속 제기되자, 대통령실은 이날 '캄보디아 한국인 범죄 대응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대응에 나섰습니다.
첫 회의는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열렸으며, 외교부·법무부·경찰청 등 관계 기관이 참석해 사건 현황을 공유하고 대책을 논의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도 앞서 "국민이 해외에서 납치·감금당하는 일이 반복돼서는 안 된다"며 외교부에 총력 대응을 지시했습니다.
앞서 외교부는 지난 10일,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에 대해 기존 2단계 '여행자제' 권고를 2.5단계인 '특별여행주의보'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같은 날 조현 외교부 장관은 주한 캄보디아 대사를 초치해 우리 국민을 대상으로 한 범죄 피해에 대해 강한 우려를 전달했습니다.
정부는 캄보디아 내에서 조직적인 취업 사기와 감금 범죄가 지속되고 있다고 보고 있으며, 현지 공관과 협력해 피해자 구조 및 예방 조치를 강화한다는 방침입니다.
댓글
(1)직접 확인하는게 더 나을듯 한데요. 전화로만하면 옆에범죄자인 누가있을수도 있고한데... 더 수상한데요. 더 조사해보는게...
갠의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