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하늘이 뚫린 듯한 비가 국지적으로 쏟아지고, 한 달간 내릴 비의 양이 하루 사이에 내리는 이상 기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광주시는 지난 두 달여간의 호우 피해 복구에 나서는 한편, 장기적으로 상습침수구역 정비에 들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이형길 기자입니다.
【 기자 】
이번 여름 폭우의 가장 큰 피해가 집중된 광주 북구 신안교 일대.
용봉천과 서방천이 합류되는 부분에서 두 하천의 수압차로 인해 서방천 하류 부분인 전남대 일대와 신안교, 문흥동이 잇따라 침수 피해를 입었습니다.
광주시는 610억 원을 들여 저지대 배수 펌프를 설치, 서방천 하천폭 확대 사업에 나서고 기존에 추진하던 우수저류시설 설치 공사를 이어가기로 했습니다.
광주천 범람 위기를 겪은 양동 복개상가의 구조 개선 사업도 추진됩니다.
모두 1조 원이 넘는 사업비가 들 것으로 예상되는 이번 사업은 환경부 등 정부와 적극적으로 협의해 국비를 건의할 방침입니다.
이밖에 상습침수 구역의 배수펌프시설 설치, 하수도 용량 확대 사업 등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문제는 막대한 예산입니다.
지자체는 물론이고 정부에서도 전국 각지의 기후위기 대응에 쓸 예산 확보가 쉽지는 않을 전망입니다.
▶ 싱크 : 강기정/광주광역시장
- "정부가 최근 200년 빈도(홍수 대비)로 다시 전면적 재검토를 한다는 점이 현실성 있는 문제인지에 대한 고민도 있습니다."
이번 여름철 침수피해에 대한 복구 사업과 보상 작업도 이뤄집니다.
총복구비는 822억 원이 투입되는 데, 침수 피해를 입은 가구는 최대 9백만 원, 소상공인은 1천만 원의 피해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KBC 이형길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