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환경부가 케이블카 규제 완화를 시사하면서 구례 지리산 케이블카 사업에도 속도가 붙을지 관심입니다.
지역 단체들은 지리산에 올라 환경부의 정책 전환을 촉구하면서 케이블카 설치가 환경을 살리는 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조경원 기자가 그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 기자 】
구례 케이블카 추진위원회와 지역 시민단체들이 해발고도 1,102m 지리산 성삼재에 모였습니다.
이들은 환경부를 상대로 시대에 맞는 합리적인 케이블카 정책을 마련해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지난 4월, 환경부가 전문위원회를 만들면서 케이블카 정책을 재검토하겠다며 사실상 규제 완화를 시사한 데 따른 겁니다.
▶ 인터뷰 : 김영의 / 구례케이블카추진위원장
- "경제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케이블카만이 구례를 살릴 수 있고 지역 소멸 도시의 대열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구례 지리산 케이블카 설치 사업은 15년 전 관련 정책이 수립되면서 본격화했습니다.
하지만 환경부의 단일 노선 원칙과 환경단체의 반발에 가로막혀 지리산 인근 4개 시군은 허송세월을 보내야 했습니다.
참다 못한 구례군과 단체들은 케이블카가 오히려 산림을 보전하고 등산객의 안전을 담보한다며 케이블카 추진에 힘을 싣고 있습니다.
실제로 매년 늘어나는 등산객 차량들로 인해 로드킬 사고는 전국에서 가장 많고, 커브와 경사길 인명사고도 빈번합니다.
때문에 도로를 산림으로 복원하고 케이블카를 놓는 것이 낫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 스탠딩 : 조경원
- "단체들은 산 아래에 있는 산동면 온천지구 주차장과 이곳 성삼재 주차장을 활용할 예정이기 때문에 산림 훼손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구례군은 환경부 전문위원회에 지자체 참여를 건의해 지역의 입장을 반영시키겠다는 계획입니다.
▶ 인터뷰 : 김순호 / 구례군수
- "단일 노선보다는 천왕봉 쪽 한 개 하고 노고단 쪽 한 개 하고 양쪽을 놓으면 훨씬 좋다는 생각이 듭니다."
환경부는 올해 말까지 케이블카 정책의 최종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인데, 대선 이후 들어설 새 정부의 입장에 따라 케이블카 설치사업의 추진 여부가 결정될 전망입니다.
KBC 조경원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