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날짜선택
    • 안철수-호남 중진 '설전'..국민의당 내홍 깊어져
      바른정당과의 연대·통합 문제를 두고 끝장토론을 벌였지만 입장차만 확인한 국민의당의 내홍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안철수 대표는 오늘 최고위원회의에서 "창당 정신을 지키면서 외연 확대를 강화하는 노력과 함께 당 내외의 여론 수렴을 계속하겠다"고 말하는 등 통합 추진 의지를 거듭 강조했습니다. 박지원 의원은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바른정당과 국민의당이 통합하면 당장 2등의 길에 올라선다는 것은 구상유취한 얘기"라고 비판하는 등 안 대표에게 직격탄을 날렸습니다.
      2017-11-22
    • 10월 수출 광주↓*전남↑
      지난 달 광주의 수출은 감소한 반면 전남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무역협회 광주전남본부는 10월 광주의 수출은 냉장고와 자동차 등의 판매 부진으로 지난해보다 3.1% 줄어든 11억 1천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전남지역 수출액은 석유제품과 합성수지 등 석유화학제품의 단가 상승과 수출물량 증가로 지난해보다 5.1% 늘어난 26억 2천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2017-11-22
    • 개관 2년 문화전당...광주시민 평가 '글쎄'
      개관 2년을 맞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 대한 광주시민의 평가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광주전남연구원 김기곤 박사가 광주시민 810명을 대상으로 한 면접조사에서 문화전당이 문화생활에 긍정적 영향을 줬다는 대답은 52.8%로 절반을 조금 넘었습니다. 또 개관한 지 2년이 되도록 문화전당을 방문한 경험이 없는 시민이 40%에 달했습니다. 반면,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사업에 대한 기대감은 높아 지역경제 활성화와 도시 이미지 강화, 문화향유 기회를 증대시켜 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2017-11-22
    • 내년부터 광주 저소득층 고교생에 수학여행비 지원
      내년부터 광주지역 저소득층 고등학생들에게도 수학여행비가 지원됩니다. 광주시의회 교육문화위원회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에게만 지원하는 수학여행비를 저소득 가정 고교생으로 확대하는 내용의 '광주시 학생 현장체험학습 활동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 조례안'을 원안 의결했습니다. 개정된 조례은 내년 9월부터 시행되며, 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 천9백여 명 등 3천 3백여 명이 혜택을 보게 됩니다.
      2017-11-22
    • 문재인 정부 1기 내각, 호남 인사 '약진'
      문재인 정부 출범 195일 만에 완성된 1기 내각에서 호남 출신 인사들이 약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무총리를 포함한 1기 내각 19명 가운데 호남 출신은 이낙연 국무총리와 김상곤 사회부총리겸 교육부장관 등 5명으로 영남과 수도권에 이어 세 번째로 많았습니다. 청와대 비서진도 전체 13명 가운데 광주전남 출신이 3명으로 서울과 함께 가장 많아 호남의 위상이 높아졌단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2017-11-22
    • 문재인 정부 1기 내각, 호남 인사 '약진'
      문재인 정부 출범 195일 만에 완성된 1기 내각에서 호남 출신 인사들이 약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무총리를 포함한 1기 내각 19명 가운데 호남 출신은 이낙연 국무총리와 김상곤 사회부총리겸 교육부장관 등 5명으로 영남과 수도권에 이어 세 번째로 많았습니다. 청와대 비서진도 전체 13명 가운데 광주전남 출신이 3명으로 서울과 함께 가장 많아 호남의 위상이 높아졌단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2017-11-22
    • 이삼용 전남대병원 제32대 병원장 취임
      이삼용 신임 전남대병원장이 취임했습니다. 이삼용 병원장은 취임사에서 진료과별 스타교수 발굴 등 연구와 진료,교육에 더욱 힘쓰고 경영 내실화와 더불어 광주전남의 최첨단 의료를 이끌어 갈 새 병원 건립의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병원장은 성형외과 교수로 오는 2020년까지 3년간 국립전남대병원을 이끌게 됩니다.
      2017-11-22
    • 광산구청 청소노동자 출퇴근 안면인식기 도입 논란
      광산구청이 청소노동자들의 출퇴근을 확인하는 안면인식기를 도입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광산구청은 지난 20일부터 첨단2동, 수완동, 월곡1동, 송정동 등 4곳에 청소노동자들의 출퇴근 시간 확인을 위한 안면인식기를 설치해 시범 운영하고 있습니다. 논란이 일자 광산구청은 청소노동자들이 송정동 교육장에 모여 점호를 한 후 퇴근하는 불편을 덜기 위한 조치라 해명했습니다.
      2017-11-22
    • [중계차]오늘 수능, 추워진 날씨…긴장 속 수험생 입실
      【 앵커멘트 】 2018학년도 수능 시험이 잠시 후 치러집니다. 광주와 전남 지역에선 모두 85개 시험장에서 3만 7천 9백여 명이 응시할 예정인데요. 부쩍 추워진 날씨가 걱정입니다. 시험장 표정 알아보겠습니다. 정의진 기자, 전해주시죠? 【 기자 】 네, 저는 지금 2018학년도 수능 시험이 치러지는 광주 광덕고등학교에 나와 있습니다. 지금 시각이 7시 ()분쯤이니까, 입실까지는 앞으로 ()분 정도 여유가 있는데요. 아직 시험장에 도착하지 못한 수험생들은 서두르는게 좋겠
      2017-11-22
    • 국민 10명 중 8명 "5.18 특별법 제정해야"
      우리나라 국민 열 명 중 여덟 명이 5.18특별법 제정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18기념재단이 지난 4월 만 19세 이상 국민 2천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77퍼센트가 5.18훼손의 심각성에 동의했으며 78퍼센트는 5.18 왜곡을 처벌할 수 있는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습니다. 또, 응답자 중 56퍼센트는 5.18 진상규명이 여전히 잘 이뤄지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7-11-22
    • 국민 10명 중 8명 "5.18 특별법 제정해야"
      우리나라 국민 열 명 중 여덟 명이 5.18특별법 제정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18기념재단이 지난 4월 만 19세 이상 국민 2천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77퍼센트가 5.18훼손의 심각성에 동의했으며 78퍼센트는 5.18 왜곡을 처벌할 수 있는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습니다. 또, 응답자 중 56퍼센트는 5.18 진상규명이 여전히 잘 이뤄지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7-11-22
    • 8뉴스 전체보기
      ..
      2017-11-22
    • [카드뉴스] 10대는 급식체, 직장인은 급여체?
      #1. 최근 한 코미디 프로그램의 소재로 등장해 큰 인기를 끌었던 10대 학생들의 은어, 이른바 급식체. #2. 초*중*고 학생들뿐만 아니라 20~30대에게까지 급식체가 유행처럼 퍼져나갔고, 급식체로 쓰인 사직서에는 수천 개의 댓글이 달리기도 하면서 화제가 됐는데요. #3. 급식체에 이어 직장인들이 흔히 사용한다는 급여체가 등장하면서 누리꾼의 관심과 주목을 한 몸에 받았습니다. #4. 급여체는 직장인들이 평소 업무를 할 때 쓰는 다양한 표현과 상황별 업무 용어 해석 등을 담고 있는데요. #
      2017-11-22
    • <11/23(목) 모닝730 위크> 화순 치즈체험학교
      【 앵커멘트 】 영양이 풍부하고 맛도 좋은 치즈! 어른, 아이 할 거 없이 누구나 좋아하는데요. 화순엔 치즈를 직접 만들어볼 수 있는 학교가 있다고 합니다. 【 기자 】 아이들이 맘껏 뛰놀 수 있는 넓은 운동장에, 알록달록 꾸며진 학교가 눈에 띕니다. 이곳은 폐교를 개조해 만든 화순 치즈 체험학교인데요. 먼저 모짜렐라 치즈 만들기 체험입니다. 이렇게 딱딱하게 응고된 치즈를 커드라고 부르는데요. 커드상태의 치즈에 뜨거운 물을 붓고 고사리손으로 열심히 주무릅니다
      2017-11-22
    • <11/22(수) 모닝730 이어서+조간브리핑>
      【 앵커멘트 】 여> 잠시 후 스튜디오에선 지영철 광주고용복지플러스센터 소장과 함께 이야기 나눠봅니다. 남> 이어서 11월 22일 수요일 아침신문 살펴보겠습니다. 1. 먼저, 경향신문입니다. 아직도 우리나라엔 단층지도가 없다는 기삽니다. 지난해 행정안전부가 단층지도를 만들기 위한 연구용역을 발주했다고 하는데요. 2021년까지 양산단층 주변의 단층지도를 만들 계획이지만, 전국의 단층지도는 2041년에나 완성된다고 합니다. 근본적으론 지진에 무감했던 역대 정부가 인력
      2017-11-22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