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품질이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확인된 미개선지역(구간)은 주로 교통인프라의 LTE 서비스에 집중됐습니다.
사업자별로 보면 SK텔레콤과 KT는 품질 미흡지역을 전부 개선하였으나, LG유플러스는 LTE 서비스 5개소에서 미개선지역(구간)이 확인됐습니다.
미개선 구간은 △수도권 2호선 홍대입구 ↔ 신도림, △수도권 3호선 신사 ↔ 약수, △불광 ↔ 삼송, △수도권 4호선 안산 ↔ 한대 앞, △KTX 경부선 광명 ↔ 천안아산 등 5개소입니다.
구체적으로, 5G 서비스는 품질 미흡지역(구간) 20개소 전체의 품질이 개선됐습니다.
사업자별로 보면, 2022년 확인된 품질 미흡지역(구간)은 SKT는 2개소, KT는 12개소, LGU+는 9개소가 있었으나, 2023년 재점검 결과 모두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LTE 서비스는 품질 미흡지역(구간) 59개소 중 약 92%인 54개소에서 품질 개선이 확인됐습니다.
사업자별로 보면, SKT 6개 지역(구간) 중 6개, KT 15개 지역(구간) 중 15개, LGU+ 55개 지역(구간) 중 50개가 개선되었으며, 품질이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확인된 미개선지역(구간)은 SKT와 KT는 없으며, LGU+는 5개로 나타났는데 미개선지역(구간)은 모두 지하철·고속철도였습니다.
#통신품질 #LTE #5G #LG유플러스
댓글
(0)